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땅꾼자리의 양쪽으로 ‘뱀머리’(Serpens Caput)와 ‘뱀꼬리’(Serpens Cauda)로 나누어져 있는
별
자리다. 그리스 신화에서 뱀자리의 뱀은 땅꾼자리의 주인공인 아스클레피오스가 약초연구로 명의가 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이 때문에 뱀은 의학과 건강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서쪽에 있는 뱀머리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있으면 중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을 내보낸다. 이때 매크로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특
별
한 피해는 없다.가장 중요한 방법은 백신 프로그램을 반드시 사용하고, 꾸준히 새로운 엔진으로 업데이트하는 일. 백신 프로그램 중에는 개인 사용자에 한해 공개로 배포되거나,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 ...
분홍색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멜버른의 학회에서 망원경으로 촬영한 분홍색 블랙홀을 공개했다. 거대한 블랙홀은
별
과 가스를 흡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블랙홀을 퀘이사라고 하는데,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는 푸른색 퀘이사만이 관측됐고, 블랙홀 주위를 소용돌이치는 입자들은 푸른색 빛만을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발견될 것이고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행성도 곧 발견될 것이다. 그
별
의 나이도 대충 계산돼 그 행성표면에서의 생물의 진화가 어느 정도 될 것인지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비교적 가까운 곳(1백광년 이내)에서 이러한 행성이 발견되면 이 행성과 교신을 시도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 바람개비 모양의
별
이 사교춤을 추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바람개비
별
의 발견은 우주에서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물체들을 분류하는데 새로운 기준을 제공했다는점에서 의미가 있다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몸집이 큰 동물은 사육사들이 구분을 하지만, 다람쥐 원숭이와 같이 작은 동물의 구
별
은 힘들다. 그래서 사용되는 것이 일종의 전자주민등록증. 에버랜드 동물원의 이기환 수의사에 따르면 볼펜 끝의 볼처럼 생긴 마이크로칩에 동물에 관한 정보를 담아 주사기로 어깨에 주입한다고 한다. 이 정보를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정도였다고 한다.5월의 천문현상■ 2일: 화성 지구와 최접근초저녁 동남쪽 하늘에서 붉은
별
빛을 쏟아내는 화성이 가장 가까워지는 날이다. 이날 지구와 화성과의 거리는 8천6백54만km, 화성의 밝기는 -1.6등급, 하지만 겉보기 크기가 2003년 8월 지구 대접근 때의 2/3정도인 16.2초로 작아 표면의 모양은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을 설득함으로써 수립된 계획으로 수많은 유대인들이 참여했다.
별
의 에너지 생성원리를 밝힌 한스 베테(1906-)도 그 중의 한사람이다. 어머니로부터 유대인의 피를 이어받은 그는 1932년 나치스 완장을 두른 젊은이들이 강의 중인 그의 교실에 들어와 난장판을 치자 경악을 금치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사용할 수 있다.이보다 조금 더 멀리 있는 은하까지의 거리는 변광성이 아닌 다른
별
을 이용해서 구한다. 그 중 한가지는 먼 은하에서 등대처럼 밝아지는 초신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여러 종류의 초신성은 모두 최대 밝기에서 대체적으로 동일한 밝기를 가진다는 가정 아래 은하까지의 거리를 구할 ... ...
제2의 태양계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반기는 분위기다. 천문대 응용천문 연구부의 박석재 박사는 “이번 발견은 우리가 특
별
한 곳에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가장 관심을 모으는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에 대해서 천문학자들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존재를 확인하기도 힘든 외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