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중요하다도움, 얼마면 돼?다음으로 생각해볼 것은 도움의 정도다. 도움을 지나치게 많이 줘도 도움 받는 이의 자율성과 자존감을해칠 수 있다. 일례로 부모가 아이의 숙제를 거의 다해줄 경우, 겉으로 보이는 성적은 좋아져도 아이의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장기간 연구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박쥐가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통제한 다음 필요할 때만 바이러스를 주입해야 한다. 엄청난 설비가 필요한 일이다. 야생동물에 대한 이해 자체가 부족해 실험실에서 키우는 일만도 만만치 않다.두 번째로 숙주 몸속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양을 시간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보’에서 노벨상을 발표하기 한 달 전에 주는 괴짜상이다. ‘사람들을 웃게 하고 그 다음에는 생각하게 한다’는 잡지의 신조에 맞게 수상자들의 연구와 시상식은 일단 유쾌하다. 수상소감이 길어지면 꼬마가 나와 ‘그만해. 진짜 지겨워’라고 소리치는가 하면, 지난 수상자가 칼 삼키기 묘기를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피하지 않았더라면 사망자 수가 무려 15만 명이나 됐을 것이라고 해요.그러나 바로 다음 해, 하이청 서쪽에 있는 탕산시에서 발생했던 지진은 정반대 결과가 나타났어요. 과학자들은 지진을 예측하지 못했고, 24만 명이 넘는 사람이 죽는 참사가 일어났지요.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인명 피해가 큰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 진짜 우주 사진은 무엇일까.미국항공우주국(NASA)은 9월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6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3장은 진짜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 경험을 활용해 3D 프린터로 탐사로봇의 부품을 제작하고 아두이노 보드에 연결한 다음, 소프트웨어를 제어하면 그럴듯한 소형 탐사로봇을 만들 수 있다. 우주복에 달린 고해상도 카메라를 떼어내 로봇에 부착시키면 원격에서도 화성 지형을 관측할 수 있다.오픈소스 매뉴얼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깊어 가는 가을에 읽을 만한 책을 추천하는 꼭지에 한 필자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썼다.“과학방면에 있어서는 에딩턴 저 ‘Space, Time and Gravitation’을 읽으라고 권고하고 싶습니다.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소개한 것으로서 고등수학에 소양이 있는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못하고 있던 문제들을 한방에 해결할, 새로운 원자모형을 제시했다. 보어의 원자모형은 다음과 같은 가정 위에 세워졌다.보어는 쿨롱의 전기퍼텐셜 에너지를 고려한 고전적인 수식에 이 가정들을 적용해, 수소원자에 묶여 있는 전자가 띄엄띄엄한 에너지 값만을 가질 수 있음을 증명했다. 보어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배경은 계산에서 배제한다. 구분 기준은 색이다. 명암, 색조, 채도가 계산에 쓰인다. 그런 다음 칼만 필터를 적용해 선수들의 형태를 쫓아간다. 칼만 필터는 예측값과 측정값을 조합해 실제값에 가까이 다가가는 알고리즘이다. 선수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0.1초 뒤 위치를 예측하고, 그 예측된 범위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하는 팀은 분명 출발선에서부터 특별한 전략을쓸 것 같았다. 유 교수가 말한 필승 전략은 다음과 같다.요트 경기의 승패를 가르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팀원의 기량이다. 요트를 타는 선수의 역할은 스키퍼, 전술가, 세일트리머, 견시역 등으로 나눈다. 이들이 각자 역할을 얼마나 민첩하고 정확하게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