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WCU사업단장(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은 “시네마 3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우주
공간
을 입체적으로 찍는 만큼 데이터의 정확도가 더욱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UC버클리가 제작한 시네마 한 기는 6~8월 델타로켓에 실려 미국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지난 1월 19일 조립을 마친 뒤 발사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안은 75% 이상이 공기였다. 얇은 종이들이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텅 빈
공간
이 훨씬 많다는 얘기다.당시 시카고대 연구팀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구겨진 종이공의 크기를 줄이려면 뾰족한 부분과 능선이 더 많이 생겨나야 한다.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등선 부분이 더 짧게 접혀야 하는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도시를 설계한다“도시를 건축하고 설계하는 일은 별자리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우리가 매일 밤 보는 별은 ... 석사과정 2학기 신세철씨는 “보통 유명 건축물은 밖에서 구경할 수 있었는데, 직접
공간
을 어떻게 구성해야 편안한지에 대해 배웠다”고 말했다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뭐죠?건축은 수시로 변하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우리의 생명을 보호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
을 만드는 활동이다. 인류문화의 발전과 함께 건축기술도 발달하기 때문에 건축물은 그 시대의 문화를 잘 나타낸다. 건축물을 보면 세계 곳곳에서 인류가 걸어온 문명의 발자취를 볼 수 있다. 역사에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눈과 귀를 끌어모으고 있다. 우주쓰레기 문제 해결 첨병으로 떠올라 요즘 우주
공간
에서 가장 골치 아픈 문제는 수명이 다한 위성의 잔해와 추진체 파편, 각종 실험 도구 등 우주쓰레기다. 우주쓰레기는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과 충돌하거나 우주정거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레이더로 감지할 수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먼저 우리 뇌에서 일어나는 일을 최대한 정확히 알아야 한다. 두개골 속, 2L가 채 안 되는
공간
에 자리 잡은 뇌에는 뉴런(신경세포)이 1000억 개 정도 있다. 뉴런은 크게 세포체와 수상돌기, 축색돌기로 나뉜다. 세포체는 핵이 있는 중심 부분이다. 수상돌기는 세포체를 둘러싼 나뭇가지 모양의 구조로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 세계에 알려졌다. 땅이 모자라 바다에 인공섬까지 지은 두바이에서 쿠션도시는
공간
도 넓히고 관광상품으로도 유명해질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기술의 한계로(?) 진척되지 못했다. 그래서 아랍지역의 소식을 영어로 전하는 걸프뉴스는 이 프로젝트를 ‘세계적인 만우절 거짓말’이라고 ... ...
착시, 예술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모두 반사시키는 성질의 거울이 만나 끝이 없는 터널을 만든 거예요.작가는 무한한
공간
을 만들려고 거울을 사용했어요. 평소 자주 사용하는 거울이 이렇게 구멍이나 터널을 끝이 없는 세상으로 바꾸었답니다. 신기하죠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구의 열수지가 바뀌고 생태계가 변한다. 이처럼 자연현상은 물질-에너지-생명-시간-
공간
이 상호작용해 일어난다. 따라서 현재 일어나는 복잡한 자연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통찰하는 능력과 이를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문제가 자주 나온다. 2010학년 서울대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불꽃 세기처럼). 따라서 관측한 천체가 표준촛불이라면 그 천체가 있는 우주의 시간과
공간
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는 초신성을 표준촛불로 써서 얻어낸 결과다.한편 유포 프로젝트는 초기우주에서 우주배경복사 이후 수소원자가 만들어지며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