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모든"(으)로 총 2,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성욕 해소를 위해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여성을 성적 도구로 여기다보니 여성의 모든 행동을 성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저런 옷을 입고 있는 건 섹스를 바라는 거라던가, 가볍게 미소 짓는 행동에도 ‘아 나랑 섹스하고 싶은 거구나’라는 생각을 한다. 별 볼일 없어 보이는 남성의 관심을 받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는 지난 50년간 여성이라는 이유로 낙태, 방치, 폭력 등을 통해 살해된 여성의 수가 20세기 모든 전쟁에서 사망한 남성의 수보다 많다는 통계를 언급하며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사망하거나 고통받는 수가 어마어마한데 별로 주목 받지 않는 게 놀랍다고 지적한 바 있다 [4]. 세상은 이렇게나 많이 ... ...
- 민간 최초 심(深)우주 탐사용 로켓 ‘팰컨 헤비’ 발사 성공…1단 로켓 3기 중 2기 회수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전 백악관 대변인)은 “팰컨9이 대부분의 우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면 팰컨 헤비는 모든 우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첫 발사는 팰컨헤비의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발사다. 강한 바람 등 기상조건 탓에 예정된 시각보다 2시간 15분가량 늦어지긴 했지만, 발사 후 1단의 재사용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6배나 늘릴 수는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노화는 몸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데 약물이 모든 세포에 영향을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2010). 이런 이유로 마음이 떠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 여기’, 지금 이 순간에 모든 생각과 감각을 집중하는 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다. 일례로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의 숨소리나 바깥의 새 소리, 또는 몸 구석구석에 느껴지는 감각 등에 집중해 보는 등의 명상이 불안과 우울 등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이야기가 있다. 평소 멀쩡하게 있었더라도 어느 날 그 한 바구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모든 계란이 한꺼번에 깨지기 때문이다. 연구들에 의하면 자존감도 마찬가지다. 좋은 엄마, 실적 좋은 회사원, 뛰어난 연구자 등 무엇 하나가 무너지면 나라는 사람 전체가 와르르 무너진다는 예언은 금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있었다. 특히 자신의 고생을 미화하며 다들 나처럼 해야 된다던가 내가 옳았다고 내뱉는 모든 말들이 꼰대질일 것이다. 나의 고생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면 너무 슬픈 일이 되니까 연약한 우리의 자아가 나의 고생은 옳은 것이었다고 굳이 이상화 작업을 하며 그 과정에서 타인을 끌어들이게 되는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생각, 마지막으로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삶에서 겪는 모든 일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 것 등이다. 다가오는 2018년에도 특히 힘든 상황 속에서 평정심을 잘 유지하며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Bonanno, G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정해진 목적지에 갈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엄밀히 말하면 레벨5를 제외한 모든 차는 자율주행 자동차라고 할 수 없다”며 “지금까지는 전 세계 어느 누구도 레벨5의 기술을 개발하지 못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기술은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도요타 연구소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알려준다는 점에서 역시 소중하다. 실패를 ‘나는 이것 밖에 안 되는 사람이고 이제 모든 게 끝’이라는 뜻으로 파괴적/극단적으로 해석하기보다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는 한 층 더 성장하게 되지 않을까? ※ 참고문헌 Downar, J., Bhatt, M., & Montague, P. R. (2011). Neural correlates of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