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사라지고 말았다. 16세기 문헌 플로렌티아의 서 삽화 -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
이후
나후아족 사람들에게 천연두가 발병한 것을 묘사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 잉카문명 멸망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윌리엄 맥닐은 두창의 유행에 의해 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후 내란이 일어난 것이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8) 위성 실리는 공간 내부 초미세먼지도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장충효 에너베스트 대표. 대전=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에너베스트는 3차 발사
이후
에도 우주 산업에 참여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누리호 고도화 사업이나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 등에 참여할 계획이다. 회사 재무 구조상 현재 우주산업의 비중은 40~50% 정도를 차지한다. 장 대표는 ... ...
코로나 확진 4005명…위중증 127명·사망 8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전날과 같다. 전날 사망자는 8명, 직전일은 2명이었다. 사망자 2명은 지난해 7월 5일 2명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었다. 누적 사망자는 3만4332명, 치명률은 0.11%다 ... ...
기후변화가 메이저리그 홈런수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경기에선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은 홈런의 비중이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2010년
이후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나온 홈런 중 1% 가량이 기온상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는데 지표면 온도가 이보다 높아지는 2100년에는 시즌 당 10% 가량의 홈런이 기온 상승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국내 6번째 M두창 환자 발생...첫 지역사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왔다. 사람이 걸리는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더 약하다. 증상은 독감과 비슷하며
이후
림프샘이 붓고 얼굴을 비롯한 몸에 발진이 나타난다. 증상이 없으면 전파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서부 아프리카에서는 풍토병이 됐다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배아 세포(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상태부터 8주까지의 개체를 배아라고 말하며, 그
이후
를 태아라고 한다)가 발달하는 과정을 관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문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세 가지 단백질 분자를 발견했어요. 지문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만드는 단백질(WNT)과 융선 사이의 간격을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SNUBall)’이란 영압력기구를 자체 제작해 회수에 성공하는 성과를 올렸다. 하지만
이후
관련 연구는 이어지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지형적인 한계다. 과학기구 연구시설과 발사장을 지으려면 인적이 드문 광활한 평야나 사막지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악지형과 인구 밀집 지역이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폭염·가뭄·열대야' 한반도 덮친 이상기후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이상기후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생성장 기본법’에 따라 2010년
이후
매년 발간되고 있다.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열린마당 발간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인간은 몇 초 전 일어난 일도 왜곡해 기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생각을 갖고 있던 사람과 대화를 했을 때 실제로는 평범한 어조로 이야기했지만
이후
'공격적이고 사나운 방식으로 대화에 응했다'라고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많은 실험과 연구는 사람이 자신의 지식이나 기대하는 바 혹은 편견에 의해 기억을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유럽을 거쳐 세계로 퍼졌다. 이 과정에서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졌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병충해 저항성과 당도와 향미 등 품질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 맞춰 품종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여러 야생종과 재래종을 도입하면서 토마토 유전자 다양성이 커지고 있다. 많은 품종을 개발하다 보니 평가가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