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생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안개등이 지하세계를 애먹게 하지 않을 것이며 심지어는 온도변화조차도 개방된
지면
에만 국한되고 지하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밤이건 낮이건, 여름이건 겨울이건, 아열대이건 극지방 주변이건간에 지하온도는 화씨 55도에서 60도 근처에 있게 된다. 너무 추울 때 이를 덥히거나 또는 너무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아는 사람들과 만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초면인 사람과 만나는 일은 극히 드물다.
지면
이 있는 사람에 의한 살인사건 발생률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 의한 살인사건 발생률을 비교하려면 무엇보다 모르는 사람과 만나는 빈도를 고려하야 한다.요컨대 모든 비교는 같은 조건으로 관찰했을 때 ... ...
디베이스강좌④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찾으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오랫동안 연락을 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그런데 수첩에 적어둔 사람들의 수가 많아
지면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아내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이런 불편을 덜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적는 공간을 '가나다'순으로 나누어 기록하기도 한다.개인적인 수첩도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 볼 수 있다. 디베이스를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망고나무 그늘에 옛날과 같이 야자잎으로 지붕을 인 집을 볼수 있다. 야자잎 지붕이
지면
에까지 축 늘어져 있고 벽은 대나무로 짠 것이다. 그러므로 하루종일 먼 파도소리와 바람소리가 들린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가 단단한 재목을 사용한 유럽식의 집에 살고 있다. 양철지붕의 방갈로풍 집이다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우리가 계속해서 밀면 그 속도는 무한히 가속될 수 있는 것인가? 또는 어떤 속도까지 빨라
지면
그 이상은 가속될 수 없는 것인가?어떤 물체가 움직이고 있으면 그 물체에는 운동에너지가 있다. 움직이고 있는 물체가 갖는 운동에너지의 양은 그 물체의 속도와 질량 두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 ...
디베이스 강좌③ 데이타를 자유자재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데이타를 다시 살리고 싶은 경우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삭제 표시된 데이타가 많아
지면
이들을 진짜로 지워야 할 시기가 도래한다. 이럴 때는 PACK 명령을 내린다. 이 명령을 사용하여 지워진 데이타는 다시 입력하기 전에는 살릴 수 없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데이타베이스 파일의 변경/MODIFY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일렉트로닉스의 기술은 '커뮤니케이션의 자연법칙'에 도전한다는 것이다. 거리가 멀어
지면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워진다. 이 법칙을 일렉트로닉스가 깨어버린다는 것이다."과거에는 지리적거리가 사회적거리를 만들고 있었다. 밀접한 접촉은 하나의 커뮤니티 안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것이라 알려져 있다. 물은 단백질등을 유지하는데 절대 필요한 것이며 수분이 떨어
지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생체내의 여러가지 분자중의 몇가지가 다시 원래상태로 돌아오지 않을 정도로 파괴되어 버린다. 그러나 선충류는 체내의 수분이 완전히 없어져도 물을 다시 주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 ...
왜 아픈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유해수용기라고 하는 통각을 위한 특별한 신경기구가 있는데, 이것에 유해자극이 가하여
지면
특별한 생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어 자극은 구심성 신경로를 통하여 뇌의 시상부, 대뇌피질 및 변연계(limbic system)에 전달되어 특수한 감각, 즉 통증과 감정장애를 느끼게 된다.통증을 느끼는 정도는 ... ...
허수보다 확장된 영역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태도는 참으로 값진 것이다.이군의 글은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두 문제를
지면
의 범위내에서 간단히 평가하기로 한다. 첫째의 '확장수'는 이군의 독창적인 문제의 통찰력을 돋보이게 한다고 말하고 싶다. 이군이 지적한대로 수의 체계가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체계로부터 복소수체계로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