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987년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로 미국 매서추세츠공대(MIT)교수인 일본과학자 '도네가와 스스무'(49세)를 선정했다는 발표가 나왔을 때 전문가들 사이 ... 두었다. 마유미부인은 현재 MIT의 '뇌 및 인지과학(認知科学)' 학부 3년에 재학하면서
생물학
과 컴퓨터 사이언스를 전공하고 있다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제시하였다. 우선 인공 유기체를
생물학
자와 함께한 방에다 집어넣는다. 만약
생물학
자가 나와서 '그것은 살아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아주 고무적인 일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다음 만약 인공 유기체가 나와서 그 친구는 살아있다고 말한다면, 그 때 당신은 올바른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라고 ... ...
서울의 하수처리시설 끝내 한강이 더욱 맑아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핵심을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active sludge process)이라한다. 이것은 폐수처리에 쓰이는
생물학
적방법의 하나로 폐수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증식시켜 정화하는 것이다. 즉 썩고 악취가 나는 폐수물의 유기물질을 박테리아가 먹어 번식하면서 몸이 커지고 엉켜 차츰 개펄 같은 덩어리가 되어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관상동맥의 X-선 현미경 사진에 의해 혈액속의 특정원소의 파악 및 동력학적연구 등 세포
생물학
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의 고밀도 집적회로 특히 이들 제반 기술들을 종합 이용하는 X-선 석판화(lithograph)는 미래의 초대규모집적회로(VLSI)의 제작에 있어 방사광 X-선의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선진국과 같이 자연사박물관이 다수 건립될 것이며 이 박물관에는 많은 지질학자 특히 고
생물학
자들이 일할 자리가 얼마든지 있을 전망이다. 영국의 자연사박물관에 8백50명이나 되는 연구원들이 여러 분야에서 일하고 있음은 좋은 예이다. 그밖에 우리나라에는 많은 지질용역회사가 있어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기지건설을 완료한다. 이 기지는 모두 6개동 4백20평으로 상주인원은 해양학
생물학
지구물리학 대기과학등6개분야의 연구위원 6명과 의료 통신요리등 모두 15명이다. 여름철에는 10명의 연구인력이 더 머문다. 건설비는 55억1천4백만원. 과학장비구입비는 10억2천8백만원. 반도체 통신 컴퓨터 ■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관련된 공해문제도 박물관팀이 자주 다루는 분야. 수천m 깊이의 바다속에 버릴 경우,
생물학
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특히 방사능물질이나 중금속물질들을 버렸을때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같은 공해물질을 동물이 먹은 뒤 다시 사람이 동물을 섭취했을 경우의 문제점은 어떻게 나타나는거 ... ...
적성과 진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책과 씨름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자연대에서 지질학
생물학
해양학 등은 기본적으로 자연과 직접 접하면서 이를 토대로 연구를 해야 한다. 물론 이런 경우도 돌아만 다니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에서 얻은 경험적 지식이 기본이 되므로 날카롭게 자연을 관찰하는 ... ...
여학생으로 보다 적합한 선택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미 나타나고 있다. 성적좋은 여학생이 전산학을 비롯하여 유전공학 분자
생물학
미
생물학
등 지금까지 소홀히하던 분야를 골고루 택하고 있는 것이다. 기계·건축분야도 그런 의미에서 남성의 아성이라는 장벽이 무너질 것이다. 앞으로 하이테크화되면 될수록 힘들고 여성이 못하던 것이 점점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해보려는 것이 교수의 연구 방향이었다. 페트로프스키 교수는 이보다 13년전에는
생물학
을 전공하는 학생이었다. 다니던 세인트루이스 대학에서 아르바이트로 컴퓨터기사 일을 할때 컴퓨터의 배선과 인간의 신경생리가 닮아 있는데 흥미를 가졌다. 그것이 연구의 시작이었다. 이탈리아의 볼로냐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