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고마웠어,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냥꾼’이라는 별명답게 현재까지 2200여 개의 외계행성과, 2300여 개의 외계행성 후보를 발견했다. 2013년 케플러는 한 차례 ‘시련’을 겪었지만, 이는 오히려 우수한 과학적 성과를 내는 원동력이 됐다. 당시 케플러의 자세를 고정하는 리액션 휠 4개 중 2개가 고장을 일으켰고, 이후 기존 임무대신 ...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포멜로가, 서쪽으로 시트론이 진화했다. 실제로 윈난성에서 800만 년 전 감귤류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호주에 자생하는 독특한 감귤류인 호주 라임 세 종류는 게놈 분석 결과 금귤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호주가 감귤류의 원산지라는 가설을 일축했다. 감귤류 식물은 대략 400만 년 전 호주로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노벨물리학상수상자도 따라잡을 수 없는 수준이었다. 건강한 사람도 물리학 이론을 발견하기 힘든데, 생존의 시간이 정해져 있다고 느끼는 불치병 환자가 해냈으니 그럴 만도 하다. 사실 보통 사람들은 호킹 박사의 말을 알아듣거나 그와 의사소통하기가 매우 어렵다. 루게릭병 증상이 점점 악화돼,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빨리 찾아오지만, 어머니에게 물려받는 경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페리 연구원은 “사춘기는 수많은 환경 요인뿐 아니라 수천 가지의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며 “아직 그 비밀은 4분의 1 밖에 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2차 성징에는 ...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풀어나가면 김 원장은 풀이 과정에 오류가 없는지 살핀다. 지난 해에는 이런 방법으로 발견한 풀이 8개를 김 원장이 직접 영어로 번역해 미국수학회에 보냈다. 그중 하나는 미국수학회도 풀이가 맞다고 판단해 학생의 이름을 잡지에 실었고, 나머지는 아직 심사 중이다. 물리와 화학을 가르치는 ... ...
- 놓고, 밀고, 넘어라! 9명의 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이길 수 있는 확률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를 분석해 보면 몇 가지 재밌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❶ 말의 수가 3-3인 경우 이길 확률이 약 83%로 가장 높다.❷ 말의 수가 3-6, 3-7, 3-8, 3-9인 경우 이길 확률이 0%다.❸ 말의 수가 9-9인 경우 이길 확률이 꽤 높다. 개서의 그래프를 보면 구체적인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학자인 알크마이온은 사람의 몸을 해부하고, 우리 몸의 신경이 뇌와 연결돼 있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 뒤 감각을 느끼고 생각하는 마음의 역할을 뇌가 한다는 ‘뇌 중심설’이 싹트기 시작했답니다. 뇌 중심설에 따르면, 마음은 신경세포들이 서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생명 현상 그 자체예요 ...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무리를 지어 사냥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지요. 혼자 헤엄치던 젠투펭귄이 먹이를 발견하고 물속에서 짧고 높은음을 내자 주변의 젠투펭귄들이 몰려오는 모습이 포착됐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집에 있던 금반지 등 80만 원 상당의 금품을 훔쳐 달아났다. 얼마 뒤 숨져있는 A씨를 발견한 이웃 주민의 신고로 경찰 수사가 시작됐지만 용의자를 특정할 만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유일한 흔적은 A씨를 묶었던 테이프에 묻어 있던 길이 1cm 남짓의 ‘쪽지문(일부분만 남은 조각지문)’ 하나였다. ...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장치로 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중금속의 일종인 바나듐이 전두엽에 쌓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doi:10.2310/7290.2015.00001 중금속이 뇌에 축적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 황 교수는 “미세먼지에 들어 있는 중금속이 호흡기로 들어가 뇌에 쌓여 치매 등 퇴행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