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오겠다"고 말했다며 "의례적인 인사 이상의 만족감의 표시"라고 풀이했다.한편 연변
물리학
대회는 남북교류의 방법에서 몇가지 유의할 점을 제시한다. 첫째 남북한의 학자가 모두 참석했지만 주최는 재미학자와 연변대여서 남한측이 행사진행의 전면에 나서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북한과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예술의 창조성에 관해 리브는 '말리코른'에서 많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천체
물리학
자이지만 시와 예술을 그의 우주관에 연결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가 부르고뉴지방의 오솔길을 거닐때 흔히 마주치는 꽃가루와 나비 시냇물을 보면서 그는 자신의 우주관을 다듬는다. 리브는 때때로 머리에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별의 진화 덕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우주에서 질량이 큰 원소를 생성하는 유일한 천체
물리학
적 과정은 별 내부에서 진행되는 핵융합 과정 뿐이다. 별은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꺼내 빛을 내면서 생성된 중(重)원소를 중심에 차곡차곡 쌓아놓는 것이다. 별의 일생 마지막 단계에서 격렬하게 폭발하는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유연성(flexibility)'이라는 것이다.이를 위해 학부과정에서는 수학
물리학
및 공학의 기초분야를 철저히 탐구하는 포괄적인 강의를 주로 하고 현장에서 쓰일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은 대학원이나 기업재교육을 통해 얻어야한다는 의견이 높다. 또 기업이 당장 써먹을 학과만 ... ...
가장 새로운
물리학
─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물리학
자들은 수리끈이론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그 까닭은 그 이론체계속에서 모든
물리학
자의 꿈인 통일이론의 가능성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고대 동양의 철인(哲人)들이 확신하던 기(氣)의 본체를 밝혀주고 아울러 우리의 삶이 나아가야할 바를 가르쳐 줄 것이기 때문이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초과학의 상징물로만 여겨졌던 가속기가 이제는 첨단산업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초전도 거대 가속기(SSC) 프로젝트의 참여가 확정되고 포항방사광 가속기 ... 걸어주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되며 돈과 인력을 댄만큼 철저히 배워와야 한다"는 것이 국내
물리학
자들의 대다수 의견이다 ... ...
소련 디아로그사와 기술협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소프트웨어 기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디아로그사와 그 협력기관인 모스크바
물리학
연구소가 개발한 첨단소프트웨어의 한글화 및 기술정보 기술인력교류 등에 관한 것이다.이에 따라 세종정보통신이 국내에 소개할 소련산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언어처리 인공지능 신경망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국내에 고속전철이 등장할 때 쯤이면 바퀴식 철도는 이미 구식이 돼 있을 것이다.도시내에서 우리나라의 철도가 차지하는 여객과 화물의 비중은 다른 수송 수단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그러나 도시간(間) 수송량을 가지고 얘기한다면 철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훨씬 커진다. 더구나 서울-부산간 또는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박차를 가했다는 것. 소립자연구는 69년 겔만이 '쿼크에 대한 가설'로 수상한 이후 노벨
물리학
상의 단골 메뉴가 됐다.시카고출신의 프리드먼과 보스턴 태생의 켄들은 현재 MIT교수로 재직중이며 테일러는 스탠퍼드대 교수로 일하고 있다. 이들은 60년대와 70년대초 스탠퍼드대학 선형가속기센터에서 ... ...
페르시아만 사태로 개점휴업에 들어간 KISR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KISR은 23년의 역사를 가진 아랍권 최대의 연구소로 평가돼 왔다. 특히 생명과학 환경
물리학
공학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연구실적을 내고 있었다. 1988년 한해 동안에도 국제적인 과학전문지에 논문이 32편이나 실리는 등 아랍과학의 선도역할을 자임해왔던 것.이 연구소에서 이룬 성과중 눈에 띄는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