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엔 '
인간
복제 금지' 선언
과학동아
l
200503
‘
인간
복제가
인간
의 존엄성 및 생명 보호와 양립할 수 없으며 회원국은 모든 형태의
인간
복제를 금지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한국 대표단은 “문화나 종교에 따라 생명의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복제연구 금지의 법제화 여부는 회원국의 결정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03
그는 “깔끔하고 잘 빠진 모습은 건강하고 활력있음을 상징한다”며 “좋은 디자인은
인간
의 ‘본능적 욕구’가 철저히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보기 좋은 디자인은 단순히 눈을 즐겁게 할 뿐 아니라 실제 물건을 다룰 때 효율도 높여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95년 일본의 연구자들은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
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03
이런 추세로 미뤄보면 앞으로 로봇수술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과연 로봇은
인간
외과의를 대신할 미래 의료기술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로봇이 수술 분야에서 어떻게 이용되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한번 살펴봤다.고통과 흉터로부터 해방이 목적수술을 받아본 환자들은 수술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03
초기 뇌 발달에 이상‘아직까지 자폐증의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초원이의
인간
승리를 지켜보며 뭉클한 감동에 젖어있는 관객들은 마지막 장면이 끝나고 화면에 나타나는 글을 읽으며 안타까움이 더해진다. ‘첨단 과학의 시대에도 원인조차 밝혀져 있지 않다니···.’“지금까지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03
잘 자라며, 하나의 씨앗으로부터 많게는 4만여개 씨앗까지도 얻을 수 있다. 애기장대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료되기 이전에 이미 유전자 서열이 전부 밝혀졌다. 또 5쌍의 염색체 내에 비어있는 공간이 거의 없어 어느 위치에 있는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키, 색깔, 잎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03
않게 느껴지는 것도 최근 뇌과학의 발전 속도에 놀란 까닭이리라.도전, 뇌과학
인간
의 뇌는 두개골로 둘러싸인 공간 속에 자리 잡은, 무게 1.5kg에 불과한 매우 연약한 조직이다. 그러나 신체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고, 모든 신체적·정신적 기능을 총괄하는 집행기관이다. 기억하고, ... ...
질병원인 밝혀줄 유전자 변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503
등 개인 및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한다. 2001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후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온 핵심연구과제 중 하나다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03
선충이 휴면에 들어가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백 교수는 “다우몬은
인간
의 노화 방지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현재 다우몬에 반응할 수 있는 사람 세포 내 수용체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또 선충이 다우몬을 많이 분비하면 엄청난 양의 지방질을 순식간에 체내에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03
한다는 것이다. 1998년 탠저린에 입사한 이 부사장은 그동안 영국항공의 비즈니스석을
인간
친화적 디자인으로 혁신하는 프로젝트를 비롯해 쓰기 편하면서도 보기 좋은 보행보조기 디자인 등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원래 그런 것이려니 하고 사용자도 감수하던 불편함을 디자인 혁신을 통해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03
60%는 곰팡이에서 나온다. 곰팡이가 세균과의 치열한 전쟁 끝에 만들어낸 항생물질을
인간
이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장기이식도 곰팡이가 돕는다곰팡이가 만드는 약에는 항생제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장기이식수술을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다른 사람의 장기를 거부하는 면역반응이다. 이 때문에 수술을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