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제에서 암세포 만드는 ‘그놈’ 찾아냈다
2015.05.06
iPS 세포를 특정 세포로 분화시켜 치료제로 사용할 때 암세포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학계
에서는 완전히 분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미분화 세포가 암을 일으키는 주범일 것으로 생각해 왔지만 미분화 세포를 완정히 제거해도 종양과 색소세포 등 원치 않는 세포들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 ...
나선형 나노구조 생성 원리 풀었다
2015.04.30
인공적으로 만들면서도 꼬인 방향을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학계
에서 ‘키랄성’으로 불리는 성질로 거울에 비친 것처럼 정 반대로 만들어져 있어 서로 겹쳐지지 않는 구조를 뜻한다. 키랄성 물질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물리적 특징이 생겨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바다의 경주’ 태안 마도 해역 해저로봇 실험장이 있는 마도 해역은 수년 전부터 고고
학계
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마도 해역은 고려도경과 조선왕조실록에도 언급될 정도로 물살이 세고 암초가 많은 곳. 조운선 등이 남해안에서 곡식이나 자기 등을 싣고 개성이나 한양으로 가다가 마도 주변에서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집을 찾고, 지구를 반 바퀴나 돌아온 철새가 매번 같은 바위에서 번식을 하는 이유다.
학계
에서는 이것을 지구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6번째 감각, 일명 ‘자각’으로 정의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진행된 실험에 따르면 철새인 유럽울새는 캄캄한 어두운 상자 속에서도 동서남북 방향을 정확히 ... ...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알아냈다. 고원지대는 높은 고도에 넓게 펼쳐진 평평한 지형을 말한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해수면 수준의 저지대가 지각판 운동에 의해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솟아오르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광범위한 조사 결과 연구진은 중국 광서성 삼강(三江) 지역의 경우 이 학설과는 ... ...
반전! 식물성 플랑크톤의 실체
2015.04.21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면서 성장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학계
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양 생태계 유지뿐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연구진은 해빙이 녹으면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양이 줄어들고 바닷물이 태양빛을 ... ...
[프리미엄 리포트 2] 한·중·일 3국 논문 수 비교해보니
2015.04.20
일본 이화학연구소 주임연구원은 “7년에 한 번씩만 평가하는 장기적인 평가와 연구자의
학계
영향력에 기반을 둔 다면적 평가가 학자들의 건전한 경쟁심을 불러일으켜 연구를 독려한다”고 일본의 연구 분위기를 설명했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 ...
신종 공작거미 발견, 몸길이 5㎜… ‘전 세계 가장 귀여운 거미’
동아닷컴
l
2015.04.15
치지 않고 나무와 풀밭에서 뛰어다니며 직접 먹잇감을 사냥한다. 공작거미는 30여종이
학계
에 보고됐는데 중국에 있는 한 종을 빼고는 모두 호주에 서식하고 있다. 공작거미가 귀여움의 대명사가 된 것은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이 암컷의 눈길을 끌기 위해 마치 공작처럼 배를 머리 위로 세우고 펼치기 ... ...
발전소 전기 모았다가 24시간 활용
2015.04.13
신재생에너지 전력변환장치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CBTL) 자격 역시 보유하고 있다.
학계
에선 ESS 기술을 확보하면 버려지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 원전 건설에 맞먹는 전력공급 효과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고 있다. 류형기 선임시험본부장은 “대용량 ESS는 ... ...
조조가 동탁 암살에 실패한 이유는 ‘입사각’과 ‘반사각’
2015.04.12
카쿠 著, 김영사 刊) “마음의 실체는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가?” 이론물리
학계
의 세계적 석학이자 미래학자인 미치오 카쿠는 광활한 우주를 연구한 끝에 우주만큼 넓고 깊은 ‘마음의 세계’에 다다랐다. 그는 과학에서 자신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인간의 마음과 뇌에 대한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