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뉴스
"
방향
"(으)로 총 5,531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스퇴르연구소 소장에 지영미 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활동하고 있다. 2018년부터 2년간 파스퇴르연 과학지문위원회 위원을 지내며 연구소 연구
방향
제시 등 자문을 제시했다. 최용경 파스퇴르연 이사장은 “감염병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과 폭넓은 국내외 경험을 겸비한 신임 지영미 소장의 비전과 리더십을 통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글로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기준을 통째로 의심하게 만들었다. 세계는 코로나19 이전부터 불평등을 가속화시키는
방향
으로 악화되어가고 있었으며, 어쩌면 코로나19는 바로 그 악화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는 촉매였는지 모른다. 블룸버그에서 조사한 코로나19 방역대응 순위. 블룸버그 The Best and Worst Places to Be in Covid: U.S.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속에 더 많은데 루게릭병 환자는 세포질로 RAN 단백질이 빠져나간다. 세포 속 물질 수송
방향
에 혼란을 주며 세포가 죽게 만든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해 'LSM1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LSM12 유전자는 RAN 단백질 농도 분포를 정상으로 돌려놓는 'EPAC1' 단백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대표주자였다). 이 연구는 상당한 손재주가 필요했기 때문에 야마나카는 분자생물학으로
방향
을 돌려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재프로그래밍’이라고 부른다) 유전자들을 찾기로 했다. 그리고 놀랍게도 불과 네 개의 유전자가 이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늘날 ... ...
"5년간 5000억원 투자해 방폐물 시설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위해 5년간 5000억원이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원자력 진흥정책 추진
방향
과 앞으로의 과제’와 ‘원자로 기술개발의 현황과 향후 추진전략’이 보고안건으로 접수됐다. 첫 보고 안건은 청정에너지로의 원활한 전환을 지원하는 가교에너지 역할을 담당하고, 축적된 역량을 ... ...
[인간·공감·AI] 처음 겪는 기후변화 시대, '극한 환경' 데이터 확보 AI가 나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이동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구름은 바람 환경에 따라 이동 속도와
방향
이 변화무쌍하게 변하기 때문에 이마저도 어렵다”이라며 “이 경우 측정된 적 없는 데이터를 가상으로 만드는 합성 데이터가 요긴하게 활용되는데 최근 이 부분에서 AI가 활약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
연총 13대 회장에 이석훈 기초과학지원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단순히 관리·감독하는데서 더 나아가 연구를 잘 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방향
으로 역할을 바꿔야 한다”며 "출연연이 국가·사회 문제해결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이란 고유임무에 몰입하도록 자발적인 혁신을 거치고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주도적으로 개선하도록 위상을 높이고 자율적 ... ...
서울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원인은 '아파트형 구조·높은 밀도·운동장 없는 실내생활'
동아사이언스
l
2020.12.25
입소시키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두 가지
방향
에서 지금 현재 실무적으로 논의를 하고 있고 가장 빨리 조치가 취해질 수 있는 부분들, 그리고 재소자분들이시기 때문에 관리가 또 중요하다”며 “법무부와 중수본이 상의를 해 오늘 중으로 결정돼 조치될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것을 막는 에너지가 경계면에서 발생한다. 이 에너지 때문에 경계면을 최대한 줄이는
방향
으로 합금이 만들어지면서 알갱이의 크기는 점차 커지게 된다. 지금까지는 합금을 만드는 과정을 조절해 에너지를 제어하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경계면 에너지 자체를 줄임으로써 석출된 ... ...
머리카락만큼 가는 모세혈관 속 누비는 초소형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높은 유연성을 가진 와이어에 부착했고,
방향
제어는 자성을 이용했다. 외부 자석을 통해
방향
을 조정했다. 연구팀은 토끼 귀를 대상으로 카테터 로봇을 실험했다. 그 결과 토끼 귀의 모세혈관 안에서 혈류를 타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실험실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