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4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서 놀면 손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8
잡히도록 진화했다는 가설이 제일 유력합니다. 2013년 톰 스멀더스 영국 뉴캐슬대
교수
팀은 손가락이 주름진 사람이 손가락이 주름지지 않은 사람보다 물에 잠긴 물체를 더 빨리옮긴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 [질문하면답해ZOOM] 물에서 놀다 보면 왜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나왔다. 니콜라스 벨로노 미국 하버드대
교수
와 데이비드 킹슬리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관찰 및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바다로빈이 다리를 사용하는 방법, 다리 발달을 제어하는 유전자를 확인했다고 27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2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바다 밑바닥에 사는 ... ...
[과기원NOW] 술잔세포 통해 안구표면 정밀 검사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 KAIST는 정연식 신소재공학과
교수
, 장민석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최민재 동국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초미세 전사 프린팅 기반으로 3차원 퀀텀닷 구조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대부분의 나노입자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패턴 품질을 ... ...
"세균 잡는 바이러스, 항생제 대체하고 희토류도 정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못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있어 박테리오파지에 대한 보수적인 시선이 있다. 이
교수
는 "침 한 방울에도 수백만개의 박테리오파지가 들어 있을 정도로 인류에 해를 주지 않는 박테리오파지가 많다"면서 "안전한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핵심은 연구 속도"…10년 전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나선 일본의 조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때문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바이오파운드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콘도
교수
는 "연구 논문은 세상을 바꿀 수 없다"면서 과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인류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사회 공헌을 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유전체 편집 기술 기업인 '바이오 팔레트(BioPalette), 유전체 합성 기업 ... ...
환자 줄기세포로 세계 최초 당뇨병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필요 없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스케 야베 일본 교토대 당뇨병·내분비·영양학과
교수
팀도 기증자의 줄기세포로 췌도 세포를 만들어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첫 이식 수술은 내년 초로 예정됐다. - doi.org/10.1016/j.cell.2024.09.004 - doi.org/10.1038/s41421-024-0066 ... ...
3600년 전 미라 옆 치즈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산악 지역에서 시작돼 전파됐다는 오랜 믿음에 도전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푸
교수
는 "고대 치즈를 연구하면 조상들의 식생활과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16/j.cell.2024.08.00 ... ...
전쟁 폐허 속 과학 강국 꿈…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전람회 70년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수상자들도 있다. 제1회 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임한종 고려대 명예
교수
는 국내 1호 기생충학 박사가 됐다. 전람회 참가 당시인 고등학교 2학년 때 이미 개구리 기생충에 대한 작품을 출품했다.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은 초등학교 5학년 때 광합성 작용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출품해 대상을 ... ...
항체에 잘붙는 '중대분자' 첫 개척한 GIST, 차세대 항암제 개발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연구한다. 센터의 책임자는 바이오기업 JD바이오사이언스를 설립한 안진희 GIST 화학과
교수
가 단장으로 선정됐다. 중대분자는 분자량 500 이하의 저분자 의약품과 항체와 단백질 의약품이 포함된 대분자 의약품의 중간에 위치한 분자다. 해외에서는 'BROS5'란 이름으로 불리며 이미 그 개념이 ... ...
[과기원NOW] KAIST, 폐플라스틱 분해·재활용을 위한 고성능 탈염소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열분해유에서도 염소를 98% 이상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안정성도 높았다. 최민기
교수
는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탈염소 반응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으로 고성능 탈염소 촉매 개발을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5일 전남 완도군청에서 완도군과 해조류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