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초콜릿과 우유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만들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할 계획입니다.●MPa(메가파스칼): 파스칼은 1제곱미터당 1뉴턴의 힘에 해당하는 압력. 메가파스칼은 파스칼의 100만 배 큰 단위다. 에필로그며칠 뒤 꿀록 탐정과 개코는 또다시 대동강 앞 공원을 찾았어요. 그런데 가만 보니 김선달이 초코우유를 두 냥에 팔고 있는 것이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셈이지요. 태양계에서 태양은 지름뿐 아니라 질량으로도 1등입니다. 태양의 질량은 2×1030kg으로, 지구의 약 33만 3000배에 달합니다.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 이상을 차지하지요. 다만 태양은 그 크기에 비해서는 질량이 가벼운 편이에요. 지구와 달리 전체가 수소, 헬륨 같은 기체로 이뤄져 있거든요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기자하굣길에 쓰레기 줍깅! 친구들과 하굣길에 비닐 2개, 종이컵 1개 등 쓰레기를 학교 주변에서 줍깅했어요.친구들에게 줍깅에 대해 알려줄 수 있어서 보람이 있었어요. 따분행! 캠패인이서림 기자생수병 분리배출 하는 날 다 마신 생수병 10병을 분리배출했어요. 비닐 ... ...
- [가상 인터뷰] 신체 최고 속도는 ‘핑거 스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핑거 스냅은 0.007초만에 완료됐는데 눈을 깜빡이는 시간보다 무려 20배나 짧았어. 또한 1초에 최대 약 4400바퀴를 회전하는 핑거 스냅의 각가속도●는 프로야구선수가 공을 던질 때 기록한 팔의 각가속도 기록보다 3배가량 높았지. 연구팀은 지금까지 측정된 인체가 만들어내는 속도 중 가장 빠른 ... ...
- [시사 과학] 코로나19로 늘어난 플라스틱 쓰레기 바다에 차곡차곡 쌓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해류를 타고 떠돌며 전 세계 해양에 쌓이게 됩니다. 연구팀은 21세기 말이 되면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플라스틱 대부분이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거나 쓰레기 형태 그대로 해저(28.8%)나 해변(70.5%)에서 발견될 것이라고 경고했어요.연구팀은 전 세계로 퍼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북극해가 제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유튜브 간접 체험 영상,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변경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당첨자는 1월 1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여러분과 친구들이 즐겨 보는 체험 영상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이 영상들의 문제는 무엇인지 이야기해보는 글을 써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위성을 설치하기 좋은 위치로 주목받고 있어요. 태양과 지구를 잇는 직선상에 있는 ‘L1 라그랑주 점’에서는 지구 그림자에 가리지 않고 항상 태양을 관측할 수 있죠. 그래서 현재 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국의 ‘태양 및 태양권 관측 위성’이 태양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구에 보내고 있답니다 ... ...
- [해외취재➋] 나쁜 동물원이 문 닫으면 동물은 어디로 가나요? 집 잃은 동물의 집,생추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때까지 돌보는 곳이지요.크레이그 대표는 생추어리 위를 높이 가로지르는 ‘야생으로의 1마일’ 다리를 가리키며, “동물원과 달리 관람객은 높은 다리 위에서만 동물을 볼 수 있다”며, “이는 사람의 시선이 동물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TWAS는 관람객을 받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화원을 되살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1년이 다 돼 가네. 그런데 이 길은 처음 와 보는걸?”전염병으로 부모님을 여읜 메리는 1년 전 고모부 댁으로 내려와 살게 됐어요.그런데 오늘은 산책하던 중 낯선 길로 접어들게 됐지요.“어? 이건 무슨 열매지? 정말 예쁘다.”빨간 열매를 본 메리가 나무를 만지려는 순간, 누군가 다급히 소리쳤어요 ... ...
- [특집] 감마선 폭발 vs 우주 쓰레기? 과학자들, 논쟁을 벌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것이었어요.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오래된 감마선 폭발로, 관측될 확률은 100억 분의 1 정도예요.그런데 올해 10월, 두 연구팀이 반론을 제기했습니다. 우선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찰스 루이스 스타인하트 연구팀은 중국 연구팀이 관측한 섬광이 감마선 폭발이 아니라 우주 쓰레기 때문일 확률이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