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적분 대회는 올해로 무려 40회를 맞는 MIT의 전통 있는 대회로, 적분 문제를 제한 시간 내에 많이 푸는 대회입니다. 적분은 함수에 따라 아주 복잡하기도, 아주 쉽기도 합니다. 때때로 간단한 함수가 적분하기 어렵고,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함수가 간단한 아이디어로 풀리기도 하죠. 구경하러 온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마음으로 계획을 세우기 좋은 1월, 각자 본인에게 맞는 학습법을 계획하고 실행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다가올 새 학기를 준비하는 것보다 지나간 2019년의 구멍을 제대로 메우는 것이 진짜 ‘가성비’가 뛰어난 수학 학습법입니다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적외선 센서를 달고 있어요. 적외선을 물체에 쏘아서 돌아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지요.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로 지형과 장애물을 알아보고 자동으로 판단해 평지는 기어서, 자갈밭은 굴러서, 장애물은 뛰어넘어서 지날 수 있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특유의 사냥방식을 이용해 짧은 시간에 많은 열량을 섭취한다”며 “이런 전략은 짧은 시간에 지방을 축적하고 큰 몸집을 만드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904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질식시킬 수 있는 양으로 추정된다. 분화와 함께 화산가스가 50~100km 근방으로 퍼지면 1시간 안에 10만 명이 숨질 수 있다.2015년 윤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밀레니엄 대분화가 재연될 경우 화쇄류가 최대 23.4km까지 퍼지고, 화산재가 남한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doi: 10.14770/jgsk.2015.5 ... ...
- [1920~2020, 로봇 100년] 로봇 혁명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등장시킨 것이다. 하지만 이름값(?)을 하는 진짜 로봇이 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960년대까지 로봇은 영화나 소설 속에만 존재했다. 그러다가 1961년 최초의 산업용 로봇 ‘유니메이트(UNIMATE)’가 개발됐다. 유니메이트는 오늘날 우리가 상상하는 산업용 로봇과는 많이 달랐다. 조악한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수mm 수준으로 줄여야 상용화할 수 있습니다. 사람과 상호작용하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겠네요? 지능 로봇의 상호작용 기술은 여러 종류의 로봇 중에서도 가장 늦게 완성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정보 수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화할 때 상대가 긍정적으로 반응하는지, 부정적으로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다 됐지만 여성 연구원의 비율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는 “최근 육아휴직이나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으로 그간 막혀있던 새로운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어서 그래도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여성 연구원들을 위한 문이 열리고 인원이 차츰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내가 겪었던 어려움도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과목과 공부 방식이 한국 입시와 다를 뿐 결국 답을 써내는 시험이다. 오히려 오랜 시간 신경 써서 준비해야 할 것은 교외 활동(Extracurricular Activity)이었다. 이는 대학 당락을 가를 만큼 굉장히 중요한 평가 항목이었다. 관심 분야에 주도적으로 매진했고, 유의미한 성과까지 냈다는 것을 보여야 했다. ... ...
- [포토뉴스] 상관관계가 보이는 수학 그림의 모습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미국 뉴욕주에 있는 브루클린 다리를 지나가는 보행자들의 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반복적인 기호 그림(위). 가로축과 세로축은 같은 값을 가지고 있으며, 점의 색은 보행자 수의 증감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두 대상이 영향력을 주고받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놀랍게도 어떤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