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영재캠프] 가위바위보 효율 높이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내거나 바위를 내거나 내가 이길
가능성
에는 변함이 없지만, 다른 게임자 A가 이길
가능성
에 영향을 준다면, A는 어떤 대가를 제공하며 나와의 물밑 거래를 시도하려들 수도 있다. 가위바위보의 규칙이 공평하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가위바위보와 같은 확률적 게임의 규칙이 공평하다는 것을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양자역학은 양립할 수 없다.상대성이론은 극미시세계에서는 다른 이론으로 대체될
가능성
이 여전이 존재한다.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연속적이라고 느끼지만 아주 작은 시공간에서는 불연속적인 격자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격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일상에서 모든 것을 연속이라고 인식하면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일정한 주파수를 만들어내거든요. 이 말은 악기의 재료와 음색이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가능성
이 크다는 말이지요.음색과 관련한 연구가 얼마나 어려운지는 명기로 유명한 스트라디바리의 음색을 둘러싼 과학 연구를 보면 알 수 있어요. 여러 과학자들이 이 악기의 비밀을 찾으려고 다양한 연구를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희귀가스 중에서 표면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멈추는 헬륨은 우주공간으로 날아가 버릴
가능성
이 가장 크다. 따라서 헬륨의 동위원소비는 시간이 흐르면 원래 태양풍 값과 차이가 나게 되고, 이 차이로부터 이토카와의 표토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우주풍화를 겪은 표토의 가장 바깥층에서는 입자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사막화는 주변으로 사막이 확대되는 것이기 때문에 뜬금없이 우리나라가 사막이 될
가능성
도 희박하다.하지만 간접적인 영향 또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기후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막화가 진행되면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이 확장된다. 하지만 기후 모델이 예측한 금세기 100년 동안의 전 지구적인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충분한 양의 유산균을 먹으면 장 속 유산균이 면역계와 작용해 면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보여준 결과다. 임 교수는 “아직까지 유산균이 약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균형 잡힌 면역반응을 유도해 더욱 많은 질환을 개선하는 보조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더 ... ...
2012학년도 수시 논술, 면접 마무리 전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소재의 선택에 신중을 기할 것이다. 따라서 배경지식이 아닌 제시문 기반의 시험이 될
가능성
이 크다.2) 성균관대성균관대는 홈페이지 입시 자료실에 상당한 분량의 논술 자료집을 공개해 학생들이 짧은 시간 내에 논술고사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올해 공개된 모의 논술 문항을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들어 있다. 당장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은 빛보다 빠른 입자의 존재가 시간여행의
가능성
을 열어준다는 말 때문이겠지만 말이다.빛의 속도는 모든 관찰자에게 일정 물론 빛은 정말 빠르다. 지구 둘레가 4만 km이므로 빛의 속도인 초속 30만 km라는 속도로 간다면 1초에 일곱 바퀴 을 갈 수 있다.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조수가 말했다.“아니, 생각해보니 여기서 끝나지 않을 겁니다. 나는 시간여행기를 만들
가능성
이 있는 사람이고 앞으로도 계속 위협을 받을 거예요. 이 시간과 장소는 미래에 유명해졌을 겁니다. 내 이름도 마찬가지일 거고요. 미래에서 나를 방해하려는 모든 사람들이 이곳에 모일 겁니다. ... ...
5악장 - 피날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최근 몇 년 사이에 속속 발표되고 있어요. 다양한 개성을 지닌 새로운 음악이 탄생할
가능성
도 커진 셈입니다. 새로운 음악을 담을 새로운 악기의 탄생을 기대해 봐도 좋지 않을까요. 혹은, 잊혀졌던 옛 악기의 화려한 부활을 꿈꿔 봅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오케스트라의 탄생1악장 -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