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순 얼굴 근육녀 ‘인기’
팝뉴스
l
2017.11.21
압도한다. 허벅지와 종아리의 근육까지 조화롭게 키웠다. 이름은 산드라 그라갈레즈
호
메로. 멕시코의 보디빌더 선수이다. 그녀가 인기가 높은 것은 근육 때문만은 아니다. 청순한 얼굴과 우람한 근육의 부조화가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다. ‘멕시코의 베이비 페이스 근육녀’는 인스타그램과 ... ...
애플, '통신 유통'까지 넘본다…"국내 중소 대리· 판매점 타격 불가피"
뉴시스
l
2017.11.21
있다"며 "아이폰 광고비 및 출시행사비 또한 통신사에게 전가시킬 정도로 자사제품의 선
호
도를 이용해 막대한 전횡을 부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통사 관계자도 "실제로 애플은 우리나라에서 단말기 보조금 등 마케팅비를 집행하지 않고 있다"며 "아이폰 광고도 애플이 따로 제작하지 않는 것으로 ... ...
[테마가 있는 영화] ‘7
호
실’ 감독의 데뷔작, ‘10분’
2017.11.17
주인공
호
찬과 회사의 정규직인 노동조합 지부장(정희태 분)은 이런 대화를 나눈다.. -
호
찬: "꿈도 중요하니까….…” -노조 지부장: “꿈 같은 소리 하고 있네. 벼랑 끝에 매달려 있는데 꿈은 무슨 꿈이냐. 하루하루가 대롱대롱이지" 꿈을 잃은 청춘들을 벼랑 끝에서 구해내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 ...
[카드뉴스] 긁으면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그 결과 쥐는 고통스러워하기보다 온 몸을 계속 벅벅 긁었습니다. 가려움과 고통의 신
호
전달경로가 서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입니다. 가려움이 괴로운 건 한번 긁으면 계속 긁고 싶고, 긁을수록 가려움이 더 심해진다는 겁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뇌는 이것을 통증으로 인식해 이 통증을 ... ...
[카드뉴스]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가 공기 중의 작은 물방울과 만나면 스모그를 일으키기 ...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데 좋은 나무들입니다. - 참고: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24
호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 ...
“신재생에너지 확대하려고 원전 없앨 필요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전원별 발전비용을 동등한 조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환산한 값이다. 반면 홍종
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국내 원전 기술이 세계 최고임을 자랑하면서도 원전의 균등화 발전단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이고 중국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점은 뒤집어 생각해보면 제 값을 못 ... ...
세계 최초 동물 우주비행사 ‘라이카’ 60주기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밝혔다. 이들은 쥐의 초기 수정란 6000여 개를 중국의 첫 과학실험위성 ‘스젠 10
호
’에 실어 우주로 보냈다. 연구진은 4시간 간격으로 수정란의 변화를 살폈고, 위성 발사 전 2세포 단계였던 수정란 중 일부가 세포 분열을 거쳐 80시간 뒤 배반포로 성장했음을 확인했다. 배반포는 자궁에 착상되는 시기 ... ...
KISTI 연구용 ‘슈퍼컴퓨터’ 중소기업 기술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도입되면 이를 4∼5개월까지 줄일 수 있어 더 많은 기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KISTI는 5
호
기 중 일부 자원을 산업체 지원 전용으로 할당해 운영할 것을 검토 중이다 ... ...
새 통신위성 ‘무궁화위성 5A
호
‘ 성공적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거쳐 동경 113도로 이동해 내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무궁화위성 5A
호
의 제작은 프랑스의 위성제작회사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발사는 미국 우주발사업체 스페이스X가 맡았다. 지상과 통신할 관제시스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구축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 비밀 밝히려면? '연구 패러다임 전환부터'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꼭 필요한지, 얼마나 많은 데이터에 기반해 결론을 도출해야 타당할지 등의 문제다. 이번
호
'사이언스'에는 이렇게 지금까지 뇌를 연구하는 접근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연구조사법을 제시하는 리뷰 논문들을 소개하고 있다. 먼저 마이클 야르트세브 미국 UC 버클리대 신경생물공학과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