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원하는 물질을 얻어내는 ‘생물화학공학’을 공부하기로 하고, 미국 리하이(LEIGHT) 대학교 ‘생물화학공학과’를 택했다. 미생물의 생명현상과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중, 건국대에서 교수 임용 제안이 들어왔다. 귀국을 결심한 터라 좋은 기회라 여기고, 수학교육과에서 교직 생활을 이어갔다. 무엇보다 사범대 교수로 지내면서, 철없던 학생들이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 변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서 좋았다. 솔직히 교수 입장에서 공부도 잘하고 말도 잘 듣는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데리고 설계실에 가보면 자신의 공간을 잘 정리해서 자신만의 공간으로 순간 맞추는 학교가 있고 그냥 대강 쓰고 마는 사람이 있어요. 그게 바로 공간에 대한 감수성 차이에요. 거주성에 대한 욕구라고 할까요.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요.”또 하나 재미있는 예는 학생들을 데리고 유명 건축물 답사를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고 전망했다.“세상이 20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몰라요. 대학생의 절반 정도는 대학교때 상상하지 못햇던 직업에서 일할 겁니다. 예전에 스마트폰이니 앱이니 하는 걸 상상이나 했나요? 지금의 직업에 얽매이면 안 돼요. 자기가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가장 좋아요. 대학생도 전공 지식 자체보다는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돈’을 버는 데만 초점을 맞춘 비정상적인 교육이라고 지적했다. “얼마 전 둘째 아이 학교에 학부모 강연을 할 기회가 있었는데 깜짝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어떤 아이가 와서 교수 되면 돈을 얼마나 버냐, 연봉 1억은 되냐는 질문을 했습니다. 만일 그 학생의 관심사가 돈이라면 공부는 해답이 될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의대나 공대가 아닌 순수과학인 화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학교에 진학해서는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를 했다. 고급 유기화학 수업에서는 교수가 던져준 숙제를 풀기 위해 일주일 내내 도서관에 묻혀서 관련 논문들을 일일이 찾아가며 공부하기도 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식이 있어야 한다. 조 대표는 “학교 공부에만 매진했던 중고등학교 시절과 달리 대학교에 오고서부터는 학문에 경계를 두지 않고 여러 경험을 했다”며 “그게 바로 벤처 기업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말했다. 그러나 2차 시험은 좀 달랐다. 혼자서 준비를 했지만 보기 좋게 떨어졌던 것. 학교 졸업 후 그는 본격적으로 시험 전선에 뛰어들었다. 학원에서는 기초 강의를 듣고, 인터넷 강의로 보충을 했다. 또 학원에 다니는 동료들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 때문일까. 그는 어린나이에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말했다. 그러나 첫 번째 대입시험에서는 고배를 맛봤다. 재수를 했고, 6개월 동안 고등학교 과정을 다시 공부해 서강대 전자공학과에 입학할 수 있었다. “애써 전자공학과 들어왔는데, 전자오락과는 무관한 것만 가르치더라고요. 수학은 어느 정도 따라갔는데 물리는 정말 어려웠던 것으로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들어 연거푸 반장을 맡게 된 정 원장은 자신에게 숨겨져 있던 리더십을 발견했다. “고등학교 때인가 우리 반에 가곡 하나를 외우게 시켰어요. 왜 그랬는지 몰라요. 가끔 원망도 들었는데 나중에 같이 부르니까 참 멋있더라고요. 지금도 그때 노래를 외우던 저를 바라보던 선생님의 눈이 기억나요.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