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d라이브러리
"
하나
"(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성충이 가두어진 장이 따로 있었어요. 그곳에서 동애등에 성충은 약 10일 동안 음식물을
하나
도 먹지 않으며 알만 낳지요. 성충이 낳은 알은 다시 연구사님들이 음식물 쓰레기가 있는 곳으로 옮겨 유충 자랄 수 있도록 한답니다. 이영혜 연구사는 “산업곤충연구소에서는 동애등에가 음식물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만들어지고 있어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수렵 채집 생활을 하는 안바라족도 그 중
하나
예요. 안바라족은 30명 정도가 마을을 만들어 생활하는데, 여성과 아이, 노인이 함께 바닷가에서 조개를 채취한다고 해요. 2시간만 일하면 하루 먹을 양의 조개를 얻을 수 있어요. 이렇게 안바라족 마을이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진화 초기 단계에 있다는 증거예요. 다른 은하와 합쳐지는 과정도 은하의 성장 과정 중
하나
거든요.와세다대학교 이노우에 아키오 교수는 “다음 연구는 주요 화학 원소인 질소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 분자까지 찾아내는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은하의 진화에 관련된 물질의 순환을 이해하는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지나치게 활동해서 면역세포가 오히려 우리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
예요. 크론병에 걸리면 장에 염증이 생겨 심한 복통과 설사로 고통을 받지요. 그런데 장속에 돼지편충이 들어오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던 면역세포가 돼지편충을 공격하기 시작해요.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참고하여 176개의 이모지를 만들었어요. 이 이모지는 가로세로 12픽셀의 크기로,
하나
에 겨우 18바이트의 용량만 차지했지요.Q이모지가 이렇게 많이 쓰이게 될 거라고 예상하셨나요?전 세계적으로 이렇게 유행할 줄은 몰랐어요. 구글과 애플의 스마트폰에서 이모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살펴보세요. 뜨거운 음식물에 뱃속을 델 수 있다?! 반려새가 병원을 찾는 흔한 이유 중
하나
는 화상이에요. 주로 피부 표면이 아닌 몸속 화상인데 보호자가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음식물을 충분히 식히지 않고 새에게 줘서 발생한답니다.조류는 식도 바로 아래에 먹이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호르몬 ‘옥신’이지요. 옥신이 분비되면 식물의 세포벽은 느슨해지는데, 이때 세포
하나하나
의 크기가 커져요. 그러면서 식물 줄기의 세포가 분열하고, 결국 식물의 줄기를 이루는 세포 수가 많아지며 성장하게 된답니다. 한편 옥신은 식물의 줄기가 햇빛을 따라 움직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어요.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지금까지 모은 구슬만 해도 수백 종류가 넘어요. 하지만 그런 섭섭박사님도 갖지 못한 단
하나
의 구슬이 있답니다. 100% 물로만 만든 ‘물방울 구슬’이지요. 그런데 얼마 전…. “해냈다! 물방울 구슬을 만들었어!” 섭섭박사님은 대체 어떻게 물방울 구슬을 만든 걸까요? 어떻게 된 걸까?☞결과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반응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얼음이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방법은
하나
더 있다. 바로 물 분자에서 양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가 얼음 결정 사이를 오가는 것이다.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금속에서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전류가 흐르게 만드는 것처럼 얼음 속에서는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기판에 덮어 성능을 시험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는 반도체 칩
하나
에 더 많은 기능을 담아야 하고 이를 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야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산화물의 박막 두께는 1μm 수준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반도체용 박막은 수십μm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