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판
테스트
시험
시세
판단
견적
데모
d라이브러리
"
평가
"(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다기능 로봇 _ 아이로비 지난 11월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주관 ‘2004 지능형로봇 기술
평가
대회’에서 장관상을 받은 유진로보틱스의 홈 서비스 로봇. ‘아이로비’라는 이름은 인텔리전트(intelligent)의 약자 i와 로봇(robot)의 애칭인 robi의 합성어다.유아에게 초점을 맞춰 높이 65cm, 무게 15kg의 아담한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살아있는 듯하다. 특히 그의 다비드상은 인류가 만들어낸 조각 중 최대 걸작품의 하나로
평가
된다. 이 작품이 얼마나 정확한가는 몸 중간의 음낭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왼쪽이 약간 아래쪽으로 처져 있다. 실제 대부분 남자의 음낭 역시 왼쪽이 약간 아래 놓여 있다.음낭이 비대칭인 이유를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2002년과 2003년에 ‘화산고’와 ‘2009 로스트 메모리즈’가 각각 개막작으로 선정돼 좋은
평가
를 받았다. 금년에는 ‘가위’, ‘폰’에 이어 세 번째로 초청된 안병기 감독의 ‘분신사바’가 폐막작으로 상영돼 호평을 받았다.600초에 거는 승부도쿄판타엔 재능있는 크리에이터를 찾아내기 위한 ... ...
구글, MSN 서치에 선두 빼앗길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1월 20일자에 밝혔다.이들은 MSN 서치의 검색 기능이 구글과 필적할 만 하다고
평가
했다. 또 미국의 저명한 검색 엔진 마케팅 사이트인 ‘서치엔진워치’(Search EngineWatch)의 크리스 셔먼은 “구글이 최고라는 생각은 이제 개념적인 것에 가깝다”고 말했다.지금까지 구글의 ‘비밀병기’는 고도의 링크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방사선의 방호적인 조치와 결부시키는 일 및 방사선 작업자 개인의 피폭선량의 측정
평가
작업환경에서는 시설 내에 고정된 에어리어모니터, 작업자가 휴대하는 서베이미터가 사용된다이들 전자 방사선은 어떤 종류의 금속이든 불투명한 물질을 투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사선원과 필름 사이에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능성이 높다. 심사 최종 단계까지 통과한 후보들은 실제로 고립된 공간에서 합숙
평가
를 거쳐야 한다.한국 최초의 여성 우주인이 탄생할 가능성은 없을까. 한서대 이원근 교수(항공우주의학)는 “신체적 조건만 따지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불리한 점은 없다. 다만 여성은 생리적으로 월경을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활용하려는 각국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곤충의 가치를 재
평가
하고 이용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미국의 경우 오래전부터 곤충의 행동과 기능을 이용하는 생체모방기술이 차세대 미래기술로 상당한 성과를 얻고 있다. 이웃 일본도 지난 1993년 ‘곤충기능 이용기술 ... ...
목소리가 매력적이면 성생활도 왕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학생들이 자신의 성생활과 관련된 익명의 질문서를 작성하게 했다.연구 결과 가장 좋은
평가
를 받은 목소리를 가진 학생들이 더 어린 나이에 성관계를 가졌고 성관계를 맺은 파트너가 더 많다는 점이 밝혀졌다. 매력적인 목소리를 가진 남녀는 대게 균형잡힌 몸매를 갖고 있었다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구기 종목에서는 성인 여자 선수의 실력이 남자 중고등학교 학생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그러나 스포츠 전문가들은 양궁, 볼링, 사격 등 힘보다는 정확성과 섬세함이 더 중요한 경기의 경우 여자가 남자를 앞설 수도 있다고 본다. 볼링은 현재 남자가 약 5점 정도 앞서는데 이는 육상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 있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다양한 칭찬과 질타가 오가는 한국의 연구여건이 좋다”고
평가
하는 그들의 설명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지금도 문 박사는 “한국에서 태어난 것, 연구소에 들어온 것 모두 행운”이라며 “만약 대학에 있었다면 엄두도 못냈을 일도 연구소에 몸담고 있기 때문에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