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5
의학
·자연과학·공학의 3중주 의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있는 기반이 조성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의료기기 개발은 첨단과학 및
의학
이 발전한 미국 등 선진국에서 전 세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 ...
4 로봇 조종, 벽지환자까지 원격수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병력 등을 듣고 진찰하는 간접진료는 초보적인 단계이고, 내시경 X선 초음파등을 이용한
의학
영상정보를 컴퓨터통신을 통해 대학병원에 보내 종합진단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되면 원격진료가 일정 수준에 이른 것. 진단장치를 어느 정도 갖추면 보건소 단위에서도 대학병원의 진단을 받을 수 ... ...
3 검사, 언제부터 비롯됐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경험적 작업을 쌓아 이루어진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교육이 요구하는 과제와 프랑스 정신
의학
과 결합돼 만들어진 것이다. 이는 삽시간에 전세계로 퍼졌다.그의 검사에는 부산물이 있었다. 그것은 지적열등아 분류 이외에 아이들의 지적발달 정도를 파악히는데 사용된다는 점이다. 즉 검사를 받은 ... ...
성의 기원 6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성(性)만큼 일상적이면서도 비상한 관심거리이고 신비의 베일에 쌓인 문제도 없다. 생물에게 성은 왜 있는가. 성의 과학적 기원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생물학
의학
진화학 인류학 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성의 기원에 얽힌 의문 6가지를 뽑아 보았다. ...
마비된 신체기능 전기자극으로 회복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않으므로 손이나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근착 '쿼크'지에 따르면 일본 도후쿠대학
의학
부와 공학부 공동 연구진은 목 부분을 손상한 43세의 남성을 치료했다. 그는 어깨를 움직이거나 무릎을 굽힐 수는 있지만 손목과 손가락은 마비돼 그 이상의 회복은 어렵다고 진단받은 환자다.연구진은 이 ... ...
나폴레옹 이집트 원정, 근대과학에 큰 영향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업적은 단순히 이집트문명의 기록에 머물지 않고 건축학 물리학 화학 동식물학 광물학
의학
등 자연과학의 넓은 분야에 미친다. 예를 들어 유적의 기록은 지형도, 폐허가 된 모습, 상상에 의한 복원도 등 복수의 상세한 도판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는 화가나 고고학자가 아니라 건축가나 기술자에 ... ...
암치료용 양성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그러나 가장 야심적인 계획은 이미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일본 지바현에 위치한 방사선
의학
종합연구소는 총공사비 3백26억엔(2천6백억원)을 들여 중입자 가속기를 건설하여 1994년 6월부터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지난 10월 6일자 일본 원자력산업신문에 따르면 두부암 환자 3명을 이미 치료했다고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X선을 이용하면 조영제를 조금만 집어넣어도 콘트라스트가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어
의학
계에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세계의 유명 방사광가속기가장 최근에 완성된 최고(3세대) 최대 규모의 방사광가속기는 유럽의 ESRF다. 프랑스 그레노블에 위치한 60억eV 규모의 ESRF는 유럽 12개국이 건설 및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등과 같이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면 배척하는 것이 서양
의학
의 관점이다. 그러나 동양
의학
은 보이지 않는 신체의 시스템(경락)이 존재하고 이곳을 통해 기혈(氣血)이 흐르고 이 흐름의 이상에서 병의 원인을 찾는다. 전국시대 중국의 의사 편작이 바로 이러한 유체병리설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연구인력도 적은데다 지원도 시원치 않아 주목할만한 연구성과가 나오기 힘들다. "국내
의학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하는 이야기다. 따라서 국내에서 노벨상 근접인을 거론하는 것은 시기상조이고 해외파로는 NIH(미 국립보건원)의 이서구박사(51, 신호전달체계)와 캐나다 캘거리대의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