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된 일일까?많은 나라들이 인구, 행정구역 등에 맞춰 선거구를 법으로 정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또한 한 선거구의 인구를 최대 31만 181명이라고 정해 놓았다. 권선구의 경우 인구가 32만 명이 넘어 선거구를 분리해야 하지만, 권선구의 일부인 서둔동을 인구가 적은 팔달구 선거구로 옮겨 선거구가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황량한 초원 어딘가에서 바오밥나무와 씨름하는 어린왕자가 나타날 것만 같다. 서호주는 우리나라의 약 77배인 땅에 사람은 반도 안되고 대부분이 황무지라 신기한 경치가 차고 넘친다.은하수가 흐르는 밤하늘에 거대한 바오밥나무가 우뚝 서 있다. 바오밥나무 열매는 꼭 죽은 쥐를 매달아 놓은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패한다면 16강 진출 실패 가능성이 약 85% 정도라고 할 만큼 중요한 경기입니다. 우리나라가 자력으로 16강에 진출한 경우는 2002년과 2010년인데, 모두 첫 경기에서 이겼습니다. 마지막 경기가 강팀인 벨기에인 만큼, 러시아와의 경기가 매우 중요합니다.한준희 위원이 뽑은 주목할 선수 ❶러시아 ... ...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클레오파트라도 장미향에 매료되어 장미 목욕을 하고 장미 향수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장미를 가꾸며 아름다운 여인을 장미에 비유하기도 했다. 이처럼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장미는 수학에서도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다.수학에서 장미는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때도, 바로 앞산이나 뒷산 곁에서 올라오고 내려가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가.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유성체 현상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전문적인 영상관측장비나 유성레이더가 없다. 그래서 처음에는 천문학자조차 유성이 정말 하나였는지 아니면 여러 개가 동시에 떨어진 것인지 알 수 없었다. ...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겨울을 보낼 월동대원들은 벌써부터 오로라를 볼 기대에 잔뜩 부풀어 있었어요. 아마 우리나라 기지에서 처음으로 보는 남극 오로라가 될 거예요. 눈을 모래처럼 날리는 활강풍을 만나다남극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은 다음 날, 헬리콥터를 타고 기지에서 20㎞ 정도 떨어져 있는 아델리 펭귄 마을도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걸까? 한글이 쉬워서 난독증이 적은 걸까? 그렇지 않아. 서울아이클리닉 정재석 원장은 우리나라도 약 5% 정도의 어린이가 난독증일 거라고 해. 하지만 난독증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판별해 내는 방법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스스로가 난독증인 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했단다. 실제로 서울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배우는 거죠. ‘앵그리 버드’를 이용해서 수학과 물리를 가르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죠? 앞으로 저도 게임 데스크와 같은 일을 하고 싶어요. 이제 게임 중독자가 돼서는 게임 개발자가 될 수 없는 걸 알겠죠?게임 데스크처럼 게임 개발을 통해서 수학을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국민의 육류 섭취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비만과 질병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야채 섭취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포스터를 만들었다. 우선, 280명의 사람들에게 설문지를 받아 성별과 연령별 야채 섭취량을 조사했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42%가 3종류 이하의 매우 ...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있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일본 학자들이 울릉도로 직접 들어와 연구하기도 했다.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울릉도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2000년대 이후다. 필자와 연구진은 여러 차례 울릉도를 방문해 나리분지 안에 일본 학자들이 찾지 못한, 60m 두께의 새로운 화산재 층을 발견했다. 화산재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