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부른다.지금까지 공간도형에 관한 여러 명칭과 어원을 살펴보았다. 가끔 고등학생
수준
의 단어도 나와 어려울 것이다. 그런 단어까지 자신의 우아한(?) 지적 능력 향상을 위해 외워 둔다면 더없이 좋겠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 단지 어원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눈으로 한 번쯤 훑어보라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홍도와 흑산도 외에도 국내 섬 10곳 정도에 모니터링과 밴딩을 담당하는 팀을 파견하는
수준
정도 돼야 세계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말한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 7월 철새연구센터를 홍도에서 흑산도로 옮긴다. 현재 흑산도 흑산면 진리 배낭기미 습지 일대에는 센터가 옮겨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굴은 직업 기자들이 맡고 있다. 교수나 학자들에게 1주일에 한두 번 지면을 할애하는
수준
인 신문이나 다른 인터넷 매체와는 운영 방식 자체가 다르다. 현직 과학자와 연구자로 활동하는 7명의 전문 필진이 만드는 지식 창고는 선정성을 배격하는 편집 방침을 뚜렷이 대변한다. 과학기술정책학으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아래
수준
까지 알 필요가 없다. 단 미니컬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풀어내는 게 숙제로 남아 있다.그래프 이론으로 커넥톰 연구 도와뇌과학이라고 하면 신경생물학자나, 뇌에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의학자만 관련돼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지만 민간인이 사용할 수 있던 신호는 오차범위 300m 정도였다. 지금처럼 오차범위 20m
수준
까지 줄여준 것은 2000년 5월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민간 GPS 사용에 대한 정책 덕분이다. 러시아도 푸틴 대통령이 2007년에 누구나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현재 GPS를 가진 나라는 미국과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들어 있어야 한다는 얘기였다. 이는 물리나 화학 같은 기초 과학
수준
과 관계가 깊다. “지금까지는 없던 원천 핵심기술을 개발하려면 학문의 뿌리까지 거슬러 올라가 거기서부터 가지를 쳐 나가야 합니다. 응용 기술만 알아서는 본질이 같은 자연 현상도 모두 다르게 보이죠.” ... ...
인공지능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시스템 운영 및 구성, 웹 관련 기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대학원
수준
에서 연구되고 있으므로 연구직종이 유망하다. 인공지능의 응용이 확대되며 많은 분야에서 관련 연구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취재 한마디 인공지능학은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산업을 이끌어 나가는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응기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반도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는 30명
수준
이고 연간 연구비도 30억 원이 고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배를 섬 뒤에 피신시켜야 할 정도였다. 기상위성자료를 보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태풍
수준
의 큰 저기압이 군도 쪽으로 이동해오고 있었다.큰 얼음이 있는 대륙 쪽으로 더 다가가서 시험을 마무리하자는 의견과 현재 기상상황을 봤을 때 대륙 쪽으로 더 들어갔다가는 2~3일 뒤 시험을 마쳐도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경희대에서 연구와 후진 양성에 앞장서는 한편,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 한국 천문학의
수준
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신인 국립천문대 건설과 한국우주과학회 창립을 주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과 함께했다. 조 박사가 무엇보다 기여한 부분은 과학 대중화였다. 시원한 웃음과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