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그는 이 책에서 정식으로 사인, 탄젠트 등과 같은 삼각비 용어는 물론 사인함수 공식을 소개했다. sin, cos, tan의 탄생알 바타니는 그의 책에서 사인을 ‘jiba’라고 불렀다. 사실 jiba는 별 뜻이 없는 아랍어였지만, 이것이 라틴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잘못 번역돼 ‘길의 커브나 옷의 주름, 꼬불꼬불한 ... ...
- 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재미있게 읽지 않았는가. 2파트에서는 이번 월드컵에서 주목해서 볼 과학포인트를 소개한다. 특히 개막식을 꼭 봐야 하는 이유가 담겨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언스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PART 2 -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X염색체를 가진 경우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64쪽 인포그래픽 참고). 앞서 소개했던 신세계원숭이 중 엄마와 아들의 색각이 달랐던 이유입니다. 원시원숭이 중 3원색을 구분하는 일부 종들도 신세계원숭이처럼 X염색체에 하나의 옵신 유전자를 갖고 있었습니다.그렇다면 신세계원숭이 중 ... ...
- 전설의 마술사 ‘소깅거 다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처음 본 다무러는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다.“그럼, 세계적인 마술사 소깅거 씨를 소개합니다~!”미션1 미로가 정사각형 상자로 변신!“먼저 두 분만 앞으로 나와 주시기 바랍니다.”마술사 소깅거는 썰렁홈즈와 다무러를 무대로 불렀다.“여기 미로가 있습니다. 벽을 네 장 움직여서 다무러와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박사는 빅뱅 이후 가속 팽창하고 있는 우주와 관련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인플레이션 우주론, 암흑에너지 등을 과학자들의 실제 관측 경험담과 함께 풀어낸다. 중간 중간 삽입된 실제 자료와 그래프는 글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 ...
- 쓰레기가 예술이 되다! 정크 아트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작품으로 재탄생 했다.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세계의 다양한 재활용 예술품들을 소개한다. 버려진 물건들이었다고는 상상하기 힘든 그 놀라운 변신을 직접 만나 보자.단추로 재현한 명화영국의 작가 제인 퍼킨스는 자신을 ‘re-maker’, 즉 재창조 예술가라고 부른다. 그녀는 재활용센터나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박이야. 이 수박을 만든 사람이 우장춘 박사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한 분이고 일본 교토대학교의 기하라 히토시 박사가 만든 거란다.원래 정상적인 수박은 염색체가 22개인 2배체(2n)야. 수박의 수꽃에 콜히친이라는 약품 처리를 하고 암꽃과 수정시키면 염색체가 44개인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책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소개되지 않았던 ‘형태학’이라는 분야를 새로 소개한다. 다 빈치부터 하이젠베르크까지 수많은 천재들을 사로잡은 ‘패턴’에 대해 깊이 있게 알 수 있다. 진짜 과학은 교과서처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으로 단순하게 나누기에는 지나치게 방대하다.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않게 됩니다. 빅뱅이 일어나지 않은 거죠.”송 박사는 이 연구를 한마디로 이렇게 소개했다. 사실 물리학에서 빅뱅을 포함해 특이점이라는 개념이 나오게 되면 일반적으로 그 이론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빅뱅이론은 밀도가 무한한 특이점에서 대폭발이 있었다는 것인데, 그 자체가 바로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아닌 정찰용 뱀로봇 등은 팔다리가 없고 제어하기 복잡해 속도가 느렸다.앞서 소개한 MIT 연구팀의 물고기로봇은 0.1초 만에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마치 실제 물고기가 몸을 강하게 경련시켜서 적을 피하는 것처럼 재빠르다. 비결은 바로 복부에 저장한 이산화탄소 기체. 꼬리 한쪽 면에 이산화탄소를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