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세포
내 소기관을 따로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한데 이를
세포
분획법이라 한다.우유를 원심분리하면 시험관 윗부분에 유지방으로 만들어진 생크림이 생긴다. 우유 속에 약 3.5~4% 포함된 유지방이 우유의 고소한 맛을 내기 때문에 지방을 줄인 저지방우유를 먹으면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성공했다. 20여 년에 걸친 노력의 결과였다.또한 그는 HPV의 종양유전자가 자궁경부암
세포
의 염색체에 삽입돼 기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로써 자궁경부암 백신이 개발돼 HPV의 감염 및 자궁경부암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됐다. 추어하우젠 박사의 연구가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백신을 개발하는데 ... ...
[생리학]식물도 아프면 아스피린 먹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발견했다.살리실산메틸은 아스피린에 있는 성분으로, 섭취했을 때 면역력을 높이고
세포
손상을 줄이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효과가 있다. 그동안 살리실산메틸이 나무껍질에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대기 중에서 기체 상태로 발견된 적은 없었다.연구팀은 밤 기온이 철에 맞지 않게 ... ...
물고기도 리듬 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 없다면 이 상황을 위기로 인식할 수 있을까.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분자
세포
생물학과 푸 무밍 교수팀은 천적이 추격해 올 때 동물이 초 단위의 시간 간격을 뇌의 뉴런으로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 ‘네이처’ 10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빛을 낼 수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조종해 친구를 만들기도 하고 적과 싸우기도 하면서 아이템과 DNA 포인트를 모은다. 결국
세포
단계에서 우주시대라는 거창한 이야기는 MMORPG의 레벨 1부터 레벨 99까지의 스토리와 거의 정확히 맞아떨어진다.물론 게임 안에서 진화라고 부르는 유닛(크리처)의 변신 기능은 주목할 만하다. 게임 중간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보존료로는 안식향산이나 파라옥시안식향산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있다. 안식향산은
세포
내 효소 활성을 억제해 미생물을 죽이는데 자연계에도 있다. 안식향이라는 나무에서 흘러나온 수지는 향이 강해 향료로 쓰이는데 주성분이 바로 안식향산이다. 그밖에도 여러 식물이 안식향산을 만드는데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박영수 군은 MIT에 각각 다니고 있다. 2006년 10월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비정상적인
세포
주기 연구’란 논문을 공동 발표한 이시항 군도 역시 대통령 과학장학생으로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 진학했다.그동안 한국청소년과학학술지는 2005년 창간호가 발간된 이래 매년 2권 이상씩 나왔고 200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잘린 부위나 특정 염기쌍을 연결한다. 운반체는 재조합 DNA를 숙주
세포
나 다른 생물의
세포
에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실제로 DNA를 복제하는 과정에서는 운반체로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오파지를 주로 사용한다.- 고등학교 생물II 교과서(나)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경지면적의 지속적인 감소로 식량의 ... ...
흐린 날씨는 미역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연구팀은 심해에 사는 대형 갈조류인 ‘켈프’가 빛에 노출되는 등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
에 저장되어 있던 요오드가 공기 중으로 나온다는 걸 알아 냈어요. 이렇게 뿜어진 요오드는 공기 중에서 산화요오드로 변하는데, 산화요오드는 구름이 생기도록 하는 응결핵의 역할을 한다고 해요. 즉,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활성화시켜 과일을 무르게 만든다. 딱딱하던 단감이 연시가 되는 이유도 에틸렌이
세포
벽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가령 덜 익은 바나나에 에틸렌을 쐬어주면 녹색이던 바나나가 노랗게 변하며 당분 함량이 올라간다.그러나 에틸렌은 과일의 노화도 촉진한다. 일반적으로 잘 익은 과일은 에틸렌을 많이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