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2016 노벨 물리학상의 주역으로 ‘핫’한 위상수학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상한 모양으로 다리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Part 1. 위상수학, 도시를 최적화하다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도형은 안정적인 느낌이 들 뿐 아니라 균형이 잡혀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문양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지금부터는 대칭이 있는 도형을 직접 만들어 보며 대칭의 아름다움에 더 깊이 빠져 보자! 원을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방법으로도 가르쳤다. 하지만 이런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이미 있는 재료로 정해진 모양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든 학생이 쓰기에는 비용도 많이 든다.이 수업은 대나무로 평면부터 입체까지 만들어 보며, 먼저 꼭짓점과 모서리를 이해한다. 그런 뒤 대나무로 입체 구조물을 만든다. 대나무는 ... ...
- [재미] 제35화 채소 키우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스쿨팜에 당첨된 정수는 채소와 과일을 3:2의 비율로 심으려고 한다. 채소는 상추와 깻잎을 심고 과일은 딸기와 참외를 심으려 한다. 상추 ... 6평을 심으려고 할 때, 참외는 몇 평을 심어야 할까?아로가 가장 넓은 땅을 가지려면 10m짜리 끈을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야 할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라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동그란 기공과, 추후에 분화 단계에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원형이나 튜브 모양의 기공이 동시에 발견된 것이다. 손 교수는 “화산 심부에서 마그마가 올라오며 기공이 형성될 때 적어도 두 단계에 걸쳐 기공이 만들어졌다는 뜻”이라며 “이런 작용이 백두산의 폭발력을 키웠을 것”이라고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씨드볼트’로 들어가는 입구였다.영하 20℃ 저장고에 종자 100만 점 영구 보관 버섯 모양의 건물 안에는 향후 수목원을 찾을 방문객들에게 씨드볼트를 소개하는 전시물과, 지하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가 있었다. 할리우드 영화 속 지하 비밀 기지로 내려가는 장면을 상상했지만, 아쉽게도 보통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관지 모양을 만들어내는 청사진에는 난류냐 층류냐 하는 구분이 없고, 기관지 모양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크기에 상관없이 반복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기관지가 만들어지는 태아 시기에는 공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세기관지에까지 유체역학적 자극이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가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물어 여러 갈래로 만든 개미 낚시용 나뭇가지를 준비한다. 흰개미 종류에 따라 개미집 모양, 위치, 생태가 다른데, 침팬지들은 이에 따라 도구를 조금씩 다르게 사용한다. 벌꿀을 따는 도구도 있다. 2009년 아프리카 가봉의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침팬지 무리에서 처음 관찰됐다. 벌꿀을 따는 도구는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M&S 기술지원팀은 본격적으로 날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작업에 돌입했다. 날개의 모양을 바꿔가면서 가상의 환경에서 풍동실험을 했고, 드론을 공중에 띄우는 힘을 극대화시키면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디자인을 찾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최종 후보를 몇 개로 좁힐 수 있었고, 실제 풍동실험을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30~100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소낭(주머니 모양의 소기관)으로, 다른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을 담고 있다. 세포 안에 있던 여러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miRNA), 그리고 각종 단백질 등이다.“나노물질을 만드는 연구를 하지만,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