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나비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며 날개의
끝
부분에 있는 노란색 무늬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나무숲 개울가 주변에 주로 살아요. 하지만 아주 빠르게 날아다닌다고 하니 눈을 크게 떠야 잘 볼 수 있겠죠? 천사의 사랑순백색 깃털이 마치 천사의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한 것을 브라유가 시각장애인용 글자로 이용한 것이다. 브라유가 10년 동안 연구한
끝
에 오늘날 사용하는 점자가 완성됐다.궁금증 2 점자의 점은 왜 6개일까?점자는 일반적으로 6개의 점으로 이뤄져 있다. 점의 개수가 6개인 것이 수학적으로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언어는 20개에서 30개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런 우주가 자그마치 10500개 존재한다. 보다 극단적인 버전으로 데이터유니버스 여행을
끝
내자.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론에서는 우리 우주만큼의 데이터를 담은 우주가 ‘무한 개’ 존재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Part2. 2012 세상을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왔을까.15세기까지 일반 사람들은 보석이 어디서 오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 막연한 세상
끝
이라고 상상했으며 기적처럼 상인들이 구해오는 것으로 믿었다. 기록에 따르면 14세기 연금술사들은 “수컷 다이아몬드와 암컷 다이아몬드가 어린 새끼를 낳고 그 새끼가 1년 내내 크게 자란다”고 말했을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합니다. 그래서 ‘멀티 스케일’이죠.”이유 없는 실패란 없다“실험은 실패했다고
끝
이 아닙니다. 실패한 이유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동안 알지 못했던 새로운 원리가 숨어 있어요.”최 교수 연구단의 핵심기술은 단연 나노 입자들을 정교하게 배열하고 쌓을 수 있는 기술이다. 최 교수는 기술의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한다. 인내가 필요한 힘든 연구였지만 학생들 스스로 좋아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끝
까지 해낼 수 있었다. 강희수 학생은 “만들어진 종이도 신기했지만 과천과학관에서 전자 현미경으로 종이의 섬유 구조를 봤을 때 한지와 비슷해서 뿌듯했다”며 종이를 들어보였다.자연사랑은 현재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침반 바늘이 북쪽을 가리키지 않는 것을 알아차렸다. 볼타전지의 양극과 음극 기둥 양
끝
을 잇는 철사에 강한 전류를 흘려보냈다. 그랬더니 북쪽에서 남쪽을 향하는 철사 옆에 나란히 놓여 있던 나침반의 바늘이 철사의 방향과 수직하게 동쪽에서 서쪽을 향하도록 90° 회전한 상태에서 멈췄다.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현상의 최신 활용 연구로 이어지는 기사 흐름이 자연스러워 읽는 사람의 관심을
끝
까지 붙잡고 있다. 사람들의 일상이나 진부한 소재로 흥미를 유발하다 보면 자칫 관심을 유도하는 데만 그칠 수 있다. 이럴 때 과학 지식과 원리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기사의 무게 중심을 잡아 준다. ‘진흙 속 진주 ...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반대로 톱니 수가 적으면, 뚜껑이 헐거워서공기가 들어가 버린다구요.”수많은 연구
끝
에 톱니의 수가 21개인 병뚜껑이 가장 적당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악당 업새블라가 나타나 발명한 21개 톱니 병뚜껑을 숨겨 버렸다.오천 개 병뚜껑 따기 기록사건을 모두 해결하고 돌아온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냈다”고 반박했다.[블루 브레인 프로젝트의 컴퓨터실. 슈퍼컴퓨터 블루진이 시선 방향
끝
부분에 놓여 있다. 컴퓨터실의 넓이는 325m2이고, 여기서 나오는 열은 근처 호수의 물로 식힌다.]2023년 인공 뇌 완성될까이 논란은 라이벌 과학자가 경쟁 연구에 대해 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다.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