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나는 과학 마녀 일리! 오늘은 중생대 익룡● 중 가장 헤어스타일이 특이하다는 친구를 만나러 왔어. 아, 저기 있군! 그런데 그 큰 머리로 비행이 가능한가요?●익룡 : 중생대에 살던 하늘을 나는 파충류. 공룡과는 다른 생물로 분류한다. 자기소개를 부탁해! 나는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라는 ...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생물시스템을 주문제작하는 플랫폼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고요. 생물학 전문가와 시민과학자가 함께 노력한다면 앞으로 바이오해킹 기술이 더욱 발전할 거예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해가 가나요?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영상 읽어줌 뇌과학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뇌과학자들은 도파민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이 우리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찾고 있어. 예를 들면, 인간은 원래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큰 노력을 들여야 했는데, 디지털 세상은 언제든지 쉽게 바람을 이루어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수의과대학생과의 첫 멘토링, 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살짝 공개할게! 멘토 발표 살짝 공개!“수의학과란?”나인혜 멘토(충북대학교)기초과학부터 병의학까지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과목을 들어요. 개와 고양이만이 아니라 소와 돼지, 기니피그 등 다양한 동물을 배우죠. 졸업하면 병원의 임상수의사가 되거나 연구소의 비임상수의사가 된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지금이야 냉장고에 넣으면 되지만, 200년 전만 해도 음식 보관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음식 보관은 특히 먼 곳으로 원정을 떠나는 군인들에게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1795년, 프랑스의 장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상하지 않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에게 1만 2000프랑의 상금을 주겠다”고 선언할 정도였 ... ...
- [현장취재] 과학 잘 하는 어린이는 다 ◯◯동에 산다? “어과동으로 가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마지막 촬영 역시 스튜디오 안에서 진행됐어요. 특별히 이번 촬영엔 실제 어린이과학동아 독자의 학부모도 출연했어요. 부모님들의 멋진 모습에 모두의 시선이 향했어요. 현장에선 어린이 독자와 학부모가 함께 어우러져 등장하는 광고라 더욱 풍성하고 멋질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였지요.30초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조윤성 대원 | 생명은 보물이다 팀탐사 생물종 양서류발견 위치 충청남도 당진시 얼룩과 줄무늬가 멋있는 참개구리였어요! 푸르른 논 옆에서 발견했답니다. 김정후 대원 | 유혈목이 팀탐사 생물종 거미발견 위치 광주광역시 무등산 샛노란 꽃잎과 같은 색을 띤 거미를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어 “앞으로 우리나라에 국가 박쥐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확립되는 날까지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열심히 탐사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말했지요. 앞으로도 지구사랑탐사대의 박쥐 탐사는 계속됩니다. 박쥐 탐사를 통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박쥐를 아끼고, 생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을 만들 ... ...
- [만화 뉴스] 태양만 있으면 바닷물도 식수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월 2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현 교수팀은 태양열로 바닷물을 증류해 먹는 물로 바꿀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장치에 바닷물을 넣으면 태양열에 의해 증기 상태의 순수한 물이 분리되고, 소금 등 염분은 장치에 그대로 남지요. 이후 증기를 다시 응결시키면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파블로프의 개’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이 표현은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가 실험한 ‘조건반사 실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우리는 파블로프를 조건반사 실험으로 잘 알고 있지만, 사실 그는 실험 이전부터 뛰어난 생리학자였습니다. 1849년 9월 26일 러시아 랴잔에서 태어난 파블로프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