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마찬가지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정체
뉴스
"
동일
"(으)로 총 2,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백신 임상시험 효과 확인
2014.12.01
26명 중 14명에게는 백신을 접종하고 나머지 환자들에게는 백신 접종을 제외한 치료를
동일
하게 진행했다. 1년 뒤 환자들을 검사한 결과 일반적인 치료를 진행한 환자들 가운데 암세포가 퍼지지 않은 사람은 20%에 불과했다. 반면 백신을 접종한 환자의 절반은 암세포 성장이 멈춘 것으로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우연히 실험자가 똑같은 행동, 즉 땅콩을 집었는데 이를 지켜보던 원숭이의 뇌에서
동일
한 뉴런이 활동했던 것. 직접 동작을 하지도 않고 지켜보기만 했는데도 뇌는 비슷한 반응패턴을 보였다. 그런데 이상한 현상을 또 발견했다. 손 대신 집게로 땅콩을 집을 때는 뉴런이 반응하지 않았던 것. ... ...
KAIST 학생 UNIST에서 수업 들을 수 있다
2014.11.28
KAIST의 경우 최대 12학점까지 허용된다. 수업을 듣는 동안 학생들은 협약대학 학생들과
동일
하게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박현욱 KAIST 교무처장은 “이번 협약은 각 대학이 보유한 장점을 상호 활용하는 대학 공동체의 새로운 협력모델”이라며 “5개 대학이 서로 문을 활짝 열고 협력해 ... ...
의약품 핵심 원료 ‘비천연 아미노산’ 국산화한다
2014.11.26
만드는 데 쓰이는 비천연 아미노산은 kg당 10~20만 원을 호가한다”며 “해외 업체와
동일
한 수준의 생산 공정을 만든다면 가격을 절반 정도로 낮춰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신서시스 & 캐탤러시스(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1 ... ...
포화지방은 ‘나쁜지방’ 아니에요~
2014.11.23
전체 지방량과 포화지방량은 낮춘 식사를 제공했다. 실험 기간 내내 전체 식사 칼로리는
동일
하게 유지했다. 실험 기간 동안 참가자들의 혈중 포화지방산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포화지방 섭취량과 포화지방산 농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반면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뇌에 이상이 생기고 근력이 약해지는 노화가 일어난다. 사람과 비슷하다. 유전체는 99%가
동일
하다. 그래서 유전자 때문에 생기는 병도 비슷하다. 2년밖에 안 되는 수명은 사람에 비해 무척 짧긴 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그 덕분에 사람은 우리를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지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유물’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석기시대 유물이 풍부하다. 톰프슨 교수팀은 유물과
동일
한 깊이에 있는 토양을 채취해 여기서 연대를 추정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석기시대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이 중 후기석기시대 유물에서는 돌을 정교하게 갈아 만든 화살촉 등 현생인류도 ... ...
말(馬)이 호흡기 질환 안 걸리게 하려면?
2014.11.19
송대섭 선임연구원와 정대균 책임연구원, 김정기 고려대 약대 교수팀은 기존 백신과
동일
한 효능을 가진 백신을 개발하고 국내 동물용 백신제작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19일 밝혔다. 말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높은 말 호흡기 질병으로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고 있다.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만든 3차원 입체 탄소구조체. 국소적으로는 벌집모양의 그래핀과
동일
하나, 전체 모양은 3차원 입체 구조다. 그래핀 소재의 특성을 유지했다. - 성균관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를 벌집 모양으로 평면에 배열한 2차원 구조로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
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해 성능 확인 시험을 마친 뒤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또 달팽이관의 두께를 10분의 1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