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뉴스픽]한국 기업 연구도 기초과학 학술지에 실리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삼성전자 연구진이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에 사용되는 청색광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 효율을 이론상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이번 논문으로 삼성전자는 청색광 퀀텀닷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완전 종식 어려운 코로나19, 결국 풍토병 되나
2020.10.19
코로나19 바이러스 이미지. WHO 제공 컬럼비아 메일맨 대학원의 제프리 샤면 교수와 마르타 갈란티 연구원은 코로나19(COVID-19)가 반복적 발병을 일으키는 규칙적인 특징 등을 통해 이 바이러스가 주기적으로 재발병하는 ‘엔데믹’(endemic·풍토병)이 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 ...
IAEA 무대서 한국 말 안먹힌다…"오염수 방류 국제관행 부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2월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IAEA 제공 일본이 이달 27일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 쌓여있는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해양방류에 대해 기술적인 면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도 어디까지나 인간이라는 점을 인정하라
2020.10.1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렸을 때를 생각해보면 왜 그랬을까? 싶을 정도로 사사건건 스스로에게 너무 비판적이었던 것 같다. 거울을 볼 때마다 눈이 어떻고 피부가 어떻고 이것도 저것도 마음에 안 든다며 비판하고, 시험 점수가 1~2점이라도 떨어지면 왜 이것밖에 안 되냐며 스스로를 비하했다. 어른 ... ...
[주말N수학]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
수학동아
l
2020.10.17
사진 박현선 기자=tempus1218@donga.com 지난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김상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가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상현 교수는 미분동형사상군의 특이정칙성을 모든 실수 범위에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유한생성군을 발견해 위상수학의 난제를 해결했다"며 수상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김홍국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는 청각 인공지능(AI) 전문가다.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들을 수 있는 사운드 줌 기술과 개인 맞춤형 음질 개선 기술, 그리고 최근에는 상황인지 청각 AI 기술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명을 구조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드론에 탑재해 실제로 인명을 구조할 계획이다. ... ...
[고쳐 쓰자, 과학용어](3)'과학자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바꾸려면
2020.10.16
과학용어가 대중과 소통에 절대적 영향 아직은 한글과 원어 혼용 필요 “‘엑시톤’ ‘스핀’ ‘캐리어’는 영어로 표기하면 입자의 성질을 짐작할 수 있는 재치있는 과학용어로 볼 수 있지만, 한글로 표기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용어가 됩니다.” 엑시톤(exciton)은 반도체에서 전자와 정공( ... ...
O형 코로나19에 강하다...점점 늘어나는 근거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자현미경으로 스캔한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혈액형이 O형인 사람이 다른 혈액형에 비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덜 감염되고 중증으로 발전할 확률이 떨어진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남부대 연구팀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 ... ...
“뇌에서 느끼는 재미 통해 게임과 교육 양립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이수인 에누마 대표. 에누마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교육이 적극적으로 도입됐다.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수업을 들어야 하는 일이 늘었다. 학생과 교사 간 상호작용이 줄어들고 화면만 쳐다보는 시간이 장기화하면서 학생의 집중력은 떨어지고 흥미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위키피디아 제공 과학적 성과에 대한 우선권이나 기여도를 둘러싼 크고 작은 논란은 사실 어느 시대에나 있다. 20세기에도 마찬가지였다. 인터넷이 깔리고 웹 기반 서비스가 보편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고 심사받고 게재되는 모든 과정이 우편으로 진행되었다. 이때 학술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