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단 현장에서 병원체 고감도 검출하는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실시간으로 병원성 감염체 검출이 가능한 나노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권오석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진단 현장에서도 고감도를 유지하면서 실시간으로 박테리아 검출이 가능한 그래핀 기반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향후 다양한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귀금속 대체하는 탄소 기반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더욱 뜻깊고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인수일 에너지
공학
과 교수팀이 1일 호흡기 전문 기업 '샐릭스'와 산소호흡기용 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지하철 역사,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화재가 ... ...
단백질 구조 예측 AI 구글·페이스북 경쟁...'알파폴드' 대항마 'ESM폴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충분한 강점으로 작용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버르크하드 로스트 독일 뮌헨공대 컴퓨터
공학
및 컴퓨터생물학과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이 더 단순하고 저렴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줬다"고 말했다. 딥마인드는 당장 ESM폴드가 만든 단백질 구조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할 계획은 없지만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현상을 이용하는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는 안동준 화공생명
공학
과 교수팀이 김병수 연세대 화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얼음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결빙제어 소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개발됐다. 포스텍은 김동표 화학
공학
과 교수와 류정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폐목을 수소와 바닐린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바닐린은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지구 표면의 7 ... ...
"장기모사칩 한계 극복"...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고승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기존 장기모사칩 제작 공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고승환 서울대 기계
공학
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고승환 교수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조수복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박사후연구원팀이 국제 정밀의료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인 '마이크로바이옴 드림 챌린지'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1일 밝혔다. 이 대회는 의생명 분야의 여러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메타버스 강의 환경 구현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
공학
과‧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단일 구조체에 세 가지 정보를 동시에 저장하는 메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메타표면으로 만들어진 이 디스플레이는 편광에 따라 각기 다른 이미지를 보여준다. 사용자에 ... ...
[과기원은 지금]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 포스텍서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공개됐다. ■ 김유식 임성갑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이윤종 분당서울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와 함께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 유발 인자를 찾았다고 31일 밝혔다. 쉐그렌 증후군은 눈물샘 및 ... ...
[과학게시판] ETRI, 로봇학술대회 2개 부문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인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1일 미국전기전자
공학
회(IEEE)가 진행한 세계최대 로봇학술대회 ‘IROS 2022’에서 보조 로봇의 행동인식과 제스쳐 인식 2개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개발한 기술은 고도화를 통해 제조나 재난, 국방, 물류 등 분야에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