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나라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도 2009년부터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를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
2011년에는 최고시속 75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 모형을 세계 최초로 만들기도 했지요.올해부터는 속력 1000km 이상의 *아음속으로 튜브 속을 달리는 자기부상열차 ‘아음속 캡슐 트레인’을 본격적으로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될 수는 있다는 이야기지요.그러면 우리나라의 백두산도 일본 지진의 영향을 받을까요?
지난
21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일본 지진의 흔들림이 백두산까지 영향을 주지 못한다”며, “큐슈와 한반도 사이에 있는 ‘쓰시마-고토 지구대’가 일본의 지진 충격파를 흡수하기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과 여행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요미국 코네티컷대 수학과 이규환 교수
지난
7월, 캐나다 밴프국립공원에서 열린 국제학회에 참여했어요. 일주일 동안 여러 강연도 듣고, 저와 관심 분야가 비슷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며 함께 문제를 풀었어요.제가 연구하는 표현론은 문제 하나를 푸는 데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마련하고 로봇SW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다양한 SW교육 활동을 하기 위해 힘쓴 조 교사는
지난
해 수상의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제45회 전국 교육자료전에서 ‘아두이노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폰무선 과학 실험’으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이다.SW는 새로운 기회현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것이었는지 살펴보고, 활동 개발에 숨은 뒷이야기도 들어 보자.거꾸로 교실 인기 게임
지난
호에 소개한 ‘삼각비 땅따먹기’ 게임은 수업에 시큰둥하던 학생들에게도 효과가 있었다. 삼각비 땅따먹기에 열성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을 보니 게임을 더 많이 만들고 싶어졌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바로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실패할 위험이 있지만 성공했을 때 영향력이 큰 연구에 도전하지 못하게 만든다.
지난
8월 28일에는 불성실 실패 판정으로 연구비 환수 조치를 받은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에 제기한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기도 했다.기계공학 전공 G 교수는 “후배들에게 정말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정부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자신의 이론이 다른 사람에 의해, 탐탁치 않은 이름이 붙은 채 소개되고 있었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에 대해 알아봤다.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보다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 척도다. 그리고 혈연관계는 근연도를 양수로 만드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에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나란히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의 성지하버드 비스 연구소는
지난
여름 가오리와 문어 소프트 로봇을 각각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한 달 간격으로 발표하며 히트를 쳤습니다. 소프트 로봇은 일종의 생체모방로봇인데요. 딱딱한 금속 로봇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두 사람의 융합 연구가 시작됐다.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유전자 진단 기술5년이 흐른
지난
7월. 두 사람은 전세계 생명과학자들을 위한 소프트웨어(SW)를 만들고 이를 서비스하는 웹사이트를 열었다. 원하는 유전자를 찾아낼 때 사용하는 ‘프라이머’라는 짧은 염기서열을 검색할 수 있는 웹사이트로,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가진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며 지식을 나누고 새로운 원동력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지난
8월에도 좋은 연구 성과를 냈다. 이상영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함께 나노셀룰로오스 분리막을 개발한 것이다. 이 분리막은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