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로버트 윌너 교수팀은 우리 몸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침입했을 때 줄기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셀스템셀’지 4월 3일자에 발표했다. 중간엽줄기세포와 조혈전구세포는 병균이 침입했다는 염증신호가 발생하면 사이토카인을 생성해 조혈모세포가 분화하도록 촉진하는데, 이로 인해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올려 700℃로 열처리했다. 그 뒤 운모 기판을 떼어내자 남은 물질은 유연하면서도 전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고분자로 다시 감싸 머리카락 10분의 1 두께의 얇고도 유연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 연구로 휘어지는 전자제품 개발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을 넘었다”며 “앞으로 ... ...
- ‘참을 수 없는 강아지의 귀여움’ 비결은 ‘옥시토신’ 호르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신경전달물질로, 사람 사이에서 사랑이나 우애 등의 친근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임신과 출산 때 필수다. 모성 본능을 일으키고 출산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옥시토신은 스프레이 형태의 약으로도 만들어져 흡입할 수 있는데, 사람이 옥시토신을 흡입하면 좀더 믿음직하고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오,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5월 26일 오전 경기 용인 경희대. 미국 브라운대 지구과학과 칼 피터스 교수가 화면 가득 띄운 달 사진을 보며 감격스럽 ... 탐사선 하나 쏴 보내지 못했다. 하지만 곧 탐사선을 보낼 날이 올 것이다. 한국이 다음 역할을 성공적으로 맡을 수 있을지 기대해보자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완공돼 체험할 거리까지 늘었다.그래서인지 이제는 발전소가 지역 문화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크고 작은 행사가 이곳에서 열린다. 시화조력관리단에 따르면, 작년 한 해에만 35건 이상의 크고 작은 문화 행사가 열렸다. 안데스문화원이 주관한 ‘영혼의 소리’ 음악회가 15번 열렸고, 색소폰 ... ...
- 가면을 쓰는 비용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해야지”라거나 “부하 직원이라면 상사보다 일찍 와야지”처럼 습관적으로 강요 받는 역할이 있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한다는 편견이 섞인 각종 ‘정답’과 오지랖처럼 개인이 본연의 모습대로 살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들이 좀 줄어 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검열 요소가 많은 사회에서는 이로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가지고 있는지 여부는, 그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했을지 연구할 때 결 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구름의 형성 과정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팀 등으로 구성된 ‘CLOUD’ 프로젝트 팀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초기에 산화 유기 ... 도나휴 교수는 “구름 입자가 만들어지는 초기 과정에 황뿐만 아니라 산화 유기물이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 첫 결과”라고 말했다.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실을 통해 전달되면서 먼 거리까지 소리를 잘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몸 속에서 실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세포라고 보고, 단거리 전자기파가 사람의 세포를 통해 잘 전달되도록 구조를 설계한 뒤 충전이 되는지 실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능력 차이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눈의 핵심 부위인 망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연구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한국계 미국인인 승현준(서배스천 승)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현 프린스턴대 교수)와 김진섭 박사 연구팀은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