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 오염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박사님의 말처럼 완벽한 게 아니었어요. 그렇다면 이 탱크가 꽉 차서 오염물질이
밖
으로 새어나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계산해 봐요.선생님 : 아하~, 8일하고 13시간이면 탱크가 폭발한다는 얘기군요. 좀 더 정확히 분 단위 까지 계산해 봅시다.선생님 : 마지막으로 초까지 계산해 볼까요?사랑 :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먹이를 먹어야 한다. 그래서 이들이 생존하려면 그만큼 먹이가 풍부한 해역을 찾아갈 수
밖
에 없다. 이연구사는“특히 산갈치는 먹이를 적극적으로 사냥하기보다 주변에 널려 있는 먹이를 주둥이로 빨아들이기 때문에 더더욱 먹이가 풍부한 곳을 찾는다”며“산갈치가 발견된 해역은 플랑크톤과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같은 상황은 동대문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서울 강북 지역의 다른 구에서도 똑같을 수
밖
에 없다.2월 25일 공군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대응 포럼에서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조봉곤 교수는 “한반도 지진안전 지대 논란을 서둘러 끝내고 과학적인 연구 방식과 대응기술을 준비해야 한다”고 ... ...
신체화장애,몸과 마음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엔돌핀만 잘 활용해도 기분 좋게 살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밖
에서 구하려다 보니 약물중독이나 알코올중독이 되는 것이다.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몸이 보내는 신호를 제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몸의 문제뿐 아니라 마음의 문제까지도 치유할 수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바꾸고, 함께 발굴한 동물이나 식물화석까지 같이 연구하느라 더욱 오래 걸릴 수
밖
에 없었어요. 화석 연구는 이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 힘들게 이루어진답니다. ▲ 컴퓨터 단층 촬영(CT) 기술을 이용해 3차원 영상으로 만든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머리뼈 화석.몸통 화석으로는 무엇을 연구할까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정팔각형 구조는 단점이 있다. 바로 뜻하지 않은 카메라 이동이다. 카라의 안무는
밖
의 4명이 회전하며 카메라 회전에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정면 카메라에서 가장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이는 정육각형과 정팔각형은 카메라가 좌우로 움직이면 구조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간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므로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은 위 안에 있어도 아직 ‘몸
밖
’에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음식물이 효소로 쪼개지고 작은 분자가 돼 조직 내 세포로 흡수되는 순간이 바로 음식물이 몸속으로 들어간 순간이다.결국 동적평형은 ‘살아 있음’을 뜻한다.사람은 왜 나이가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보는 도피행동은 잠시 동안은 편안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므로 언젠가는
밖
으로 나와 직접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상처 입은 영혼의 안식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에게나 수축의 심리가 작용한다. 그렇다. 진짜 쥐구멍은 아니지만 모든 사람은 나름의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몸무게의 약 8%이다. 1.5L우유를 네 통 정도 채우는 양이다.150 재채기를 할 때 공기가 몸
밖
으로 나가는 속도는 시속 150㎞이다.206 우리가 태어날 때는 뼈가 300개 이상이지만 자라면서 서로 붙는 뼈가 있어 어른이 되면 206개가 된다.도전! 나도 섭섭박사오, 놀라워라! 지난 호에 소개된 편광연구실에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더디게 전진하던 아라온호는 결국 경로를 빗겨나 멈춰 섰다.1월 27일 1차 시도, 예상
밖
의 실패“당연히 성공할 줄 알았습니다. 얼음 두께가 조건에 잘 맞았거든요.”쇄빙능력 시험을 총괄한 극지연구소 극지운영실 남상헌 실장은 당시의 느낌을 “건조 과정을 이끌어온 4년여의 시간이 모두 수포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