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길 사람 속, 이제 단면으로 본다 절단영상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도움을 주지만 주로 흑백이고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미국
국립
의학도서관에서는 1994년(남성)과 1995년(여성)에 실제 시신의 절단면을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사진기로 찍어 절단영상을 만들었다. 이런 영상은 단면을 직접 보고 정보를 얻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김 교수의 연구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에 주요논문으로 게재됐다.김 교수의 연구는 그가 택한 ‘네트워크’라는 단어처럼 최근 연구 결과들을 속속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그런 결과들은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궁극적인 목표에서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몰두, 유전자와 염색체의 관계를 발견했다1943년 콜드스프링 하버 연구소원, 45년
국립
과학원 여성회원에 선출되었으며 46년에는 여성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미국 유전학회 회장이 되었다67년 미국 과학원이 수여하는 컴버 유전학상을 수상했으며 81년에는 앨버트 라스커 의학연구상을 수상했다83년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식된 인간배아줄기세포가 인간보다 쥐의 뇌세포에 더 가깝게 성장했다”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서 밝혔다. 인간 뇌세포 지름은 보통 17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인데 이식된 인간의 줄기세포는 쥐의 뇌세포 크기인 11㎛로 성장했기 때문이다.그러나 경희대 뇌신경생물학사업단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얼마만큼 증발산이 일어나는지도 알아낼 수 있다.현재 연구팀은
국립
산림과학원과
국립
수목원의 협조를 받아 광릉수목원에 증발산 측정탑 두 개와 생태수문관측시스템을 구축했다. 맑은 여름날 광릉 숲은 하루에 4mm(1m2 면적 당 2L짜리 생수 2병 정도)의 물을 대기로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소나무를 베어 낼 수밖에 없답니다. 여기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립
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신상철 박사를 만나 보았어요. Q 소나무재선충은 무엇인가요?A 기생충이 우리 몸에 살면서 양분을 빼앗아 먹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의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 다지증(多指症) · 항문폐쇄증 등의 유전적 장애이다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 있는
국립
고에너지 물리학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이 운영하며, 1930년 캘리포니아 대학의 E O 로렌스가 최초로 사이클로트론을 제작했는데, 이것은 균일 자기장과 고주파 전기장을 조합시켜 사용하는 ... ...
쥐코는 놀라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번 코를 킁킁거리면 냄새의 방향도 맞출 수 있다.인도
국립
생명과학센터의 발라 연구팀은 목마른 쥐를 이용해 구멍이 뚫린 벽에 코를 대고 흘러나온 냄새의 방향을 맞추면 물을 주는 훈련을 시켰다. 놀랍게도 쥐는 바나나, 유칼립투스와 장미의 즙 등 종류에 관계없이 80%의 정확도로 냄새의 방향을 ... ...
광우병 단백질 좋은 일도 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상태에서 줄기세포의 복제를 도와 다른 세포로 분화하게 한다. 이 연구는 1월 30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프리온은 비정상 형태일 때 광우병이나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등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새 혈구세포로 분열하는 쥐의 줄기세포를 연구한 결과 많은 세포 표면에서 정상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다.문제는 따뜻해진 겨울로 인해 한국에 열대질병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
보건연구원 질병매개곤충팀 신이현 박사는 “말라리아가 한국에 토착화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열대기후에서 흔히 나타나는 전염병인 말라리아가 한국의 ‘풍토병’이 되고 있다는 것. 보건 체계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