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야행성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동물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박쥐가 줄어드는 것은
곧
밤에 나돌아다니는 해충의 박멸이 훨씬 어려워짐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세계적인 박쥐집단거주지인 미국텍사스주의 고사리동굴(Bracken cave)에서 사는 4천만마리의 멕시코똥박쥐들은 매일 밤 2백50t의 벌레를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체가 보낸 빛만을 단서로 우주의 원리를 추리하게 된다. 즉 천문학에서는 온 우주가
곧
실험실인 셈이다. 따라서 천문학이라는 탐정놀이를 재미있게 즐기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단서가 되는 빛에 관해 잘 알지 않으면 안된다.라디오나 텔레비전 수신에 이용되는 전파는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눈을 떴다."새에 애착을 갖다 보니 새의 먹이사슬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고, 새의 먹이는
곧
자연생태계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달아 자연히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그는 지금까지 새와 함께 생활해 오면서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3백80종의 새 가운데 약 2백종을 봤다. 그동안 제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 색다른 변기에 오줌을 누면 약간의 오줌이 포도당 바이오센서가 든 용기에 흘러 들어
곧
바로 체내 당분의 과다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이때 오줌 속에서 다량의 당분이 검출된다면 당뇨병의 예고탄으로 인식해야 한다.요중(尿中) 당분의 양을 측정해주는 바이오센서는 도쿄대학의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진단과정은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다. 어떤 증상이 있으면 이것이
곧
어떤 병이고 따라서 어떻게 치료하면 된다는 식의 의료공식은 결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어떤 질병에 걸리면 반드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또 어떤 증상이 한가지 병이 있을 때만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갖가지 행동의 원인이 됨을 인식하고 있다.동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곧
동물이 어떻게 사고하는가의 문제와 연결된다. 벨벳 원숭이 연구로 알아낸 것은 영장류의 목소리는 반사적인 것뿐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주위의 개체들을 계산에 둔 상태에서 환경에 따라 다른 울음 소리가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못할 정도다. 전자기 작용을 전달하는 게이지 입자인 광자는 1백개만 눈에 들어와도
곧
느낄 수 있는데 비해 중성미자의 상호작용은 너무나 약하므로 이를 약작용(weak interaction)이라고 한다(중성미자는 보통 ${υ}_{e}$라고 표기한다). 이제 이들을 쌍으로 묶어서 쿼크인 (u d)와 렙톤인 (${e}^{-}$ ${υ}_{e}$)로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생활은 오히려 한국에 있을 때보다 더 나아졌지요.하지만 결혼하자마자
곧
유학을 떠나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살림살이도 처음 해보는 데다가 언어장벽도 있고 문화적 차이에 의한 서먹서먹함도 있어 시작이 힘들게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유학생 부부는 서로 돕게 돼 있어요. 내가 경험하기로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또한 이루어져 왔다. 인간은 두발로 일어서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숲에서 평야로 나가
곧
사냥을 했고 사냥도구들을 개발해냈다. 이어서 인간의 뛰어난 두뇌는 두 발이 아니라 바퀴를 가진 훨씬 편안한 수송수단을 개발해냈고 이것에 동력을 붙여 급기야 인간이 타고 다니기에 이르렀다.이러한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 확률론적 해석에 대하여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로 반박했다. 그러나
곧
많은 과학자들이 이 이론을 받아들이게 되었다.20세기 초반의 이러한 사건들을 거쳐 현대물리학이 자라나게 되었다. 때로는 기존 이론에 정면으로 거역하는, 따라서 처음에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