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빙산이 조류의 흐름을 알려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이유는 해양의 밑바닥과 부딪친 결과로 추측되고 있다.지난 해 여름(남극대륙은
겨울
) 세조각으로 쪼개진 B-9는 남극대륙에서 약 8백㎞ 떨어진 곳의 얕은 물에 붙잡히고 말았다.연구원들은 B-9를 그곳까지 옮겨놓은 조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조류가 남극대륙으로의 열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많이 함유돼 있어 감기예방에 특효가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특히 허약한 어린이에게
겨울
에 김을 많이 먹이면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이러한 해조류가 공해로 인한 인체의 부담을 덜어주는데 여러가지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만을 틀림없다.원자력 낙진에 의한 방사선 피해를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지구와는 달리 양극에서 동시에 볼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겨울
에 형성된 극관은 이른 봄에 가장 커지며(위도 60°~70°까지 번짐) 늦여름에 완전히 없어진다. 극관의 성분은 얼음이 주성분이며, 이산화탄소가 언 드라이아이스가 극관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수 있는 인간도 가능하지 않을까. 최근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는 꽁꽁 얼어서
겨울
을 지내다가 날씨가 풀리면 살아나는 몇몇 동물들을 소개했다.따뜻한 보금자리를 갖지 못한 변온동물(개구리 거북 등)은 주위의 온도가 체액이 어는 온도보다 더 떨어질 때 어떻게 견디는 것일까. 어떤 종들은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해지고는 있지만 믿을만한 것은 못된다.유수의 공룡 발자국화석이 발견되고1982년 1월
겨울
방학을 이용해 필자는 학생들과 함께 남해안 일대의 지질을 조사했다. 조사구역은 전남 광양군 해안으로부터 하동군 사천군 삼천포 해안을 지나 고성군 해안까지로 정했다. 이들 지역에서 중생대 해성층을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머리를 동쪽으로 돌려보자.시리우스보다 밝은별?막상 고개를 돌린 동쪽하늘은 남서쪽
겨울
철의 별자리에 비해 약간은 초라한 느낌이 들 정도로 이름모를 별들만이 빛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초보자가 별자리를 쉽게 찾아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올봄은 이러한 어려움을 쉽게 해결해 줄 수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앞으로 곤충들의 세계를 행동 형태별, 즉 먹이먹는 모습, 탄생 모습, 짝짓기 모습,
겨울
잠자는 모습 등으로 모아 곤충 사진집을 출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경기도 시흥 소래에서 농사지으면서 축산업을 하는 이원규씨(36)는 곤충중에서도 나비의 삶만을 집중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남한에서 볼 수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러나 석유연소로 발생하는 검댕은 지상 2, 3㎞이상을 올라가지 못한다는 이유로 핵
겨울
이론을 반박하는 학자도 많다. 검댕이 성층권에 도달하지 못하면 날씨변동을 좌우하는 제트기류에도 영향을 못 미칠 뿐 아니라 북반구 전역으로 급속히 확산되는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나라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받은 사람의 50~80%가 효과를 보고 있다). 설령 예방접종이 효과가 있더라도 그 기간은 한
겨울
을 넘기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감백신의 접종 시기는 매년 초가을 무렵이 바람직하다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대삼각형의 위용에 가려 자칫 소홀히 다뤄지는 중요한 별자리가 있다. 이것이 바로
겨울
의 대삼각형 안쪽에 위치한 어두운 별자리 외뿔소 자리다.비록 가장 밝은 α별이 3.9등급의 어두운 별자리여서 도시의 하늘에서는 잘보이지 않지만,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촬영에 열을 올리는 유명한 '장미성운'과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