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하나"(으)로 총 3,0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탄소14보다 훨씬 불안정한 방사성동위원소인데 붕괴하는 양식이 좀 다르다. 즉 양성자(p+) 하나가 중성자(n)와 양전자(e+)로 붕괴되면서 안정한 붕소11로 바뀐다. 양전자의 별칭을 굳이 붙인다면 베타플러스(β+)입자이므로 이 과정을 베타플러스붕괴라고 부른다. 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할 때 쓰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 성과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 것 같다. 하나는 전혀 예상치 못한 발견으로 최근 호모 날레디가 불과 30만 년 전에 살았다는 논문 발표가 그런 예다(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 2015년 호모 날레디가 처음 소개됐을 때는 호모속(屬)으로 분류는 했지만 작은 뇌 용량 등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맞는 식단 짜야 성공 필자들이 글의 제목에 ‘복잡한(messy)’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또 하나의 이유는 개별 음식이 공복감이나 식욕에 미치는 영향이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영양학 교재에 나와 있는 음식들의 혈당지수는 평균값일 뿐 개인에 따라 그 폭이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싸잡아 평가하기보다 자신에대한 구체적인 사실 하나하나에 주목(잘못 하나 잘한 일 하나 각각)하며 일반화하지 말 것 4)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심을 줄일 것이다. 꼭 남들과 비교해서 누구보다 대단하고 우월해야만, 또는 비현실적으로 모든 면에 있어 완벽해야만 괜찮은 ...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2017.06.03
- 현상도 덜 보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사람들에게 ‘치실’ 사용에 대한 글을 읽게했다. 하나는 과학적, 의학적 근거를 통해 치실 사용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 글이었고 또 다른 글은 전문적인 근거보다는 개인의 경험을 근거로 설명한 글이었다. 그 결과 지적 겸손 정도가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세 배 정도 더 높다. 자가면역이 유발되는 주요 메커니즘의 하나가 분자구조의 유사성(molecular mimicry)에서 비롯된 면역계의 착각이다. 즉 외부 물질(음식이나 병원체)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가 형성될 때 불운하게도 이 항원의 구조가 우리 몸의 물질과 비슷할 경우 이 ...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100 Days of Rejection)”를 시작했다. 황당한 시도인 듯 보이기도 하지만 100일 동안 하루에 하나씩 다양한 종류의 거절을 맛보아서 거절에 익숙해져 보자는 의도였다고 한다 (Jiang, 2016). 첫 날 그는 낯선 이에게 다가가 10만원만 빌려달라고 했다. 그러자 상대방이 당황하며 “안 되겠는데, 근데 왜?”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2017.05.16
- 형성된 극단적인 남녀차별과 이를 정당화한 이론, 즉 2500년 전 ‘하늘의 뜻’이 자녀가 하나뿐인 가정이 대부분이고 먹을 게 너무 많아서 문제인 이 풍요로운 시대에도 여전히 떠받들어진다는 건 비정상적인 현상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크게 늘린 것이 오늘날 우리나라 청년실업문제를 초래한 구조적인 문제임에도 누구하나 손을 대지 못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 아닐까. 지난 2013년 타계한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는 노벨상을 두 번이나 탄 인물이다. 인슐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규명해 1958년 화학상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1973년 ‘어버이날’로 바꾸면서 ‘아버지’를 슬쩍 끼워 넣었죠. 아버지를 위한 날을 하나 만들어주어도 좋았을 텐데요. 아무튼 우리나라처럼 하루에 ‘몰아서’, 어버이날로 기념하는 나라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면 할머니나 할아버지의 날은 어떨까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 상당수의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