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아니면 전자일 수도 있다. 더불어 화학반응에는 이 무언가들이 오고 갈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매개체는 액체 상태의 물이다.반면 얼음은 결정으로 이뤄져 있어 화학반응을 매개하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런 예상과 달리 실제로는 얼음에서도 화학반응이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남극 바다에는 산소가 많이 녹아 있어 체내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굳이 필요없어 사라지는 형태로 진화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 2월 26일자에 밝혔다. doi: 10.1038/s41559-019-0812-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플라스모닉스, 광학, 재료공학, 촉매, 전자공학, 생명공학, 의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향후 과학의 발전을 책임지는 귀중한 보물이 될 것이다. 남좌민.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큰 수를 빠르게 소인수분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컴퓨터로는 약 2128번의 계산이 필요해서 현실적으로 풀 수 없지. 그런데 전문가들이 꿈꾸는 양자컴퓨터는 지금까지 난공불락이었던 RSA 암호를 무너뜨릴 수 있는 무서운 존재야. 미국의 수학자인 피터 쇼어 MIT 교수가 양자컴퓨터로 소인수분해를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함수로 나타내 그 함수를 추적하는 방법이지. 점들을 모두 찍을 필요 없이 함수만 정의하면 돼서 코드로 표현하기도 쉽고, 빠르게 계산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그리고 함수를 조금씩 변형하면 곡면이 두 개로 갈라지거나, 합쳐지는 등 모양이 바뀌는 것도 쉽게 ... ...
-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1×1×1 큐브로 3×3×3 큐브를 채우려면 3³=27개가 필요하다. 즉 서로 다른 9가지 색으로 이뤄진 멀티큐브를 색깔별로 3개씩, 총 27개 준비해야 한다. 27개의 큐브는 3×3×3 큐브에서 꼭짓점에 8개, 모서리에 12개, 면에 6개, 그리고 큐브의 중심에 1개로 나뉘어 들어간다.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본문에 나왔던 두 가지 방법을 써야 해요. 하지만 이 방법을 쓸 때도 특별한 전략이 필요해요. 예시로 나왔던 삼각형 수열의 꼭대기에서 셋째 줄까지 이동하는 네 가지의 경로를 살펴볼까요? 3+7+2, 3+7+4, 3+4+4, 3+4+6 가만히 보면 3+7이나 3+4 같은 계산이 반복되는 걸 알 수 있지요. 그러니 이런 중간 ...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두 달 동안 바다와 섬을 오가며 새끼에게 먹이를 구해다 주는데, 새끼가 성장할수록 필요한 먹이의 양은 늘어나지요. 이렇게 열심히 키워도 홀로 사냥을 할 만큼 성공적으로 성장하는 개체는 많지 않아요.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김미란 연구원의 조사 결과, 성공적으로 성장해 7~8월 부모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식물이 아예 움직이지 않는 건 아니에요. 자신의 생존에 꼭 필요한 양분이나 물, 햇빛 등을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기도 한답니다. 물론 식물 전체가 어딘가로 이동할 순 없고, 줄기나 뿌리 등이 한쪽 방향으로 휘면서 뻗어 나가는 식으로 움직이지요. 식물은 주로 ... ...
-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바닷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가 개발됐다. 일본 홋카이도대 연구팀은 정전기적 상호작용 원리를 이용해 바닷물 속에서도 고체에 달라붙을 수 ... “이온 농도가 더 높은 환경에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467-019-13171-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