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천체물리학저널’ 11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레이저로 태양의 적외선보다 10배 이상 강한 빛을 내는 인공조명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경 30m 망원경과 2MW급 레이저로는 4.23광년 떨어진,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탐지 가능한 신호를, 구경 45m 망원경과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CCD) 42개를 장착해 총 9500만 화소에 이를 만큼 ‘눈’이 밝다. 우주의 한 지점을 수개월 이상 바라보면서 항성이 내는 빛의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앞으로 행성이 지나가면 빛이 일부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자들은 송골매의 날갯죽지 근처의 특정 깃털들에 주목했다. 송골매가 일정 속도 이상의 비행을 시작하면 이 깃털들이 곧추서는 장면이 계속 포착됐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송골매의 날갯죽지 근처에 있는 깃털들이 진동하면서 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이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창업해 현재 대표를 맡고 있다. 공 교수는 “의학적으로 치료와 재활이 더 이상 불가능한 환자들의 경우 웨어러블 로봇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장애의 종류에 따라 로봇을 따로 제작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공 교수는 또 “SG로보틱스의 경우 마비 환자, 특히 어린이를 위한 웨어러블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PFTrDA에 노출됐을 때 여성호르몬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PFTrDA가 생식 이상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doi:10.1016/j.chemosphere.2014.01.080 이런 PFTrDA의 영향은 PFOS와 PFOA에 노출된 물고기의 암수 쌍에서 산란수가 감소한 영향과 유사한 결과입니다. doi:10.18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수들의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수리연 수학자들은 매달 한 번 이상 충남대학교병원 의사들과 만나 다양한 문제를 풀고 있다. 사실 수학자들이 의학 분야의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료수학 연구가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에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길이를 알고 다른 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만 안다고 생각해보세요. 자로 직접 재지 않는 이상 죽었다 깨어나도 변의 길이를 알 수 없지만, 두 삼각형이 닮았다면 길이의 비를 알아내서 나머지 두 변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도형 문제를 풀 때 무척 유리하겠죠? 평면도형의 넓이는 보통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추적자들’ 페이스북 그룹에 가입하면서 오로라를 관측했어요. 그러다 보랏빛 띠 모양의 이상한 현상, 즉 ‘스티브’를 발견했지요. 이름은 애니메이션 에서 동물들이 울타리를 처음 보고 힘이 센 미지의 생물일 것이라고 착각해 스티브라는 이름을 붙인 것에서 따왔답니다. Q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어. 사람의 몸속에도 100조 개 이상의 미생물이 있는데, 그중 97% 이상은 장에 살고 있단다.예전에 과학자들은 장내미생물이 음식물의 소화를 돕거나 영양소를 공급해준다고만 생각했어. 하지만 최근 장내미생물이 비만, 당뇨와 같은 질병부터 사람의 기분까지, 인체의 건강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진화산에 불이 났을 때 소방 헬기로 불을 끄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불길이 잡혀 더 이상 타지 않는 나무들은 검게 그을려 있고 불길은 바람에 따라 확산되겠지요. 즉 바람이 확산제, 소화액이 억제제 역할을 하면서 점 또는 띠무늬 자국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튜링 모형을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