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관측할 수 없는 감마선폭발의 초기 순간을 최초로 포착하고 편극광과 적외선 대역의
빛
도 최초로 관측할 계획이다.유포 프로젝트를 좀 더 자세히 얘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극한우주 연구 분야로 감마선폭발의 기원을 규명하고 짧은 감마선폭발 현상의 실체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또 블랙홀의 ... ...
날아가는
빛
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물체나 똑같이 반복할 수 있는 모습만 찍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아가는
빛
을 찍을 때는
빛
의 발사 시각과 찍는 시각을 정확하게 동기화한 뒤에 반복해서 찍는다.이 기술은 모퉁이를 돌아서 보이지 않는 곳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를 연구하던 과정에서 나왔다. 연구책임자인 라메쉬 라스카 교수는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때문에 머리 표면에 생체 투과성이 높은 근적외선을 쪼여주면 뇌 활동에 따라 반사되는
빛
의 양이 달라진다. 2009년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음료수 중 좋아하는 것을 알아내는 실험에 성공했다. 근적외선분광은 fMRI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뇌파에 비해 정확하다.뇌-컴퓨터 접속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집광판에 되돌아오는
빛
을 빠르게 모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때 집광판을 통과한
빛
을 분석하면 ‘깊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에셔 박사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보다 작은 크기의 카메라로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가 스마트폰에 이용될 전망”이라고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전에는 참여자가 LED와 스피커가 달린 옷을 입고 움직여야 했다. 천장에 달린 센서가 LED
빛
을 인식하는 방식이었다. 참여자가 어색해하거나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키넥트를 도입한 뒤에는 ‘옷을 입는다’는 장벽 하나가 없어지면서 설치도 쉬워지는 동시에 참여자도 더욱 작품에 몰입할 수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오는
빛
을 휘게 한다. 이
빛
은 대칭이지만, 만일 가까운 별에 행성이 있다면 대칭인
빛
에 왜곡이 생긴다. 이 방법으로는 별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도 찾을 수 있다.연구팀은 6년 동안 관측한 자료를 분석해 외계행성 3개를 찾아냈다. 두 별이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으로 보아 이는 굉장한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찾은 나주와 해남의 논에는 연두
빛
마늘이 많이 자라고 있었다. 흙은 1월인데도 붉은 황토
빛
이었고, 물기가 많지 않았다.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뾰족한 빙하 ‘실버호른(해발 3695m, 독일어로 은색 뿔이라는 뜻)’이 이름처럼 은은한
빛
을 내고 있다.수천~수백만 살 먹은 빙하는 새하얀 만년설 이불을 덮고 있다. 눈이 잔뜩 쌓이면 점점 무거워져 가라앉는 압력이 강해진다. 아랫부분에 깔린 눈덩이는 녹고 얼기를 반복해 단단한 얼음(빙하)이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없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만약 각막 안에 혈관이 있고 붉은 피가 흐른다면 눈은
빛
을 제대로 받아들일 수가 없다. 이런 증상이 바로 녹내장 같은 질환이다.인간의 각막이 유리처럼 투명하게 유지된 비밀을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 츠토무 큠 교수팀이 밝혀냈다. 큠 교수는 ‘FoxC1’이라는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담긴 용기 위에 프린터 헤드는 설계도에 따라
빛
(자외선)으로 원하는 모양을 그린다.
빛
을 받으면 액체 표면이 굳어 레이어가 된다.첫 번째 레이어는 액체 속에 살짝 잠기고 그 위로 다시 프린터 헤드가 지나가면서 두 번째 레이어를 만든다.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