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한국"(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5.01.30
- 파일럿 플랜트 내의 분리막 설비(skid). 이 설비는 3단 처리 시설로 구성돼 있다.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올 2월에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음식물‧축분 혼합 공공처리시설에 파일럿 플랜트를 설치했다. 파일럿 플랜트는 1시간에 6Nm³의 메탄가스를 정제할 수 있는 규모이며 이 ... ...
- 양파 먹인 광어가 ‘쵝오’에요! 2015.01.26
-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두운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최종순, 권요셉 책임연구원 팀은 양파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겨울철 광어의 새끼인 치어의 생존률을 6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광어 떼죽음의 원인은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뇌신호 기술을 개발 중이다. 강지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은 새로운 뇌-척수 연결 기술을 개발 중이다. 하반신 마비인을 위한 기술로, 척수신경이 끊어진 환자를 위해 전극을 심고 뇌파를 기계장치로 측정해 하반신 아래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20
- KAIST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장애인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의 모습.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1980년대 이전 개봉됐던, 많은 영화를 보면 그 시절 예상했던 현 ... KAIST에서 개발한 노약자를 위한 상지 보조기. 각종 센서와 제어장치 모두 직접 개발했다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2015.01.20
- 시술만으로 누구나 선글라스만 쓰면 앞을 볼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눈 기술이 ‘시각장애인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2015.01.20
- 최근에는 외부 배터리가 필요없는 미래형 인공와우 기술도 국내 기술진이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과 서울대 등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인공와우의 핵심소자인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한 것이다. 이 소자를 이용해 인공와우를 제작하면 기존 인공와우처럼 귀 외부에 ...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2014.12.26
-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 슈퍼박테리아도 바이오마커로 30분 만에 확인 김승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슈퍼박테리아(다제내성균)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Acinetobacter baumannii)’가 어떻게 항생제를 무력화시키는지 7년째 연구 중이다. 폐렴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10 ...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업무협약 체결동아사이언스 l2014.12.23
- 강훈 원장, 이봉로 사무국장, 김태현 팀장, 백상운 선임연구원 - 산기협 제공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 이하 산기협)는 12월 22일,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원장 강훈, 이하 진흥원)과 ‘기초·원천 연구성과의 기술이전과 기업의 사업화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 ...
- [기술이 바꾼 미래] 거대 제약사, 비아그라로 역습을 당하다KOITA l2014.12.22
- 개발하려면 모두 화이자로부터 특허권을 사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인들이 그동안 정력제로 애용해온 민간요법이 모두 화이자의 특허에 저촉될 수 있다는 뜻이다. 화이자의 태도에 제일 먼저 반발하고 나선 나라가 영국이다. 발기부전을 치료하는 방법 즉 남자의 성기능을 증진시키려는 ... ...
- 친환경 타운의 미래지향적 모델 제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12.19
- 남는 열에너지를 대형 축열조(예를 들어 물탱크)에 저장했다가 겨울에 사용하게 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일반적으로 하루나 1주일의 단기 축열 시스템은 국내 연구소, 학교, 기업에서 많이 연구돼 왔다. 하지만 계간 축열 시스템 같은 장기 축열 시스템은 국내 기술이 미흡한 상태다. 그래서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