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웹툰] IT 강국, 댓글 강국
KOITA
l
2013.10.08
: 함께 만나서 C언어를 스터디할 분을 찾습니다. 주말에 4시간 정도 모여서 서로 부족한
점
을 보충해주면 서로의 회사업무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여기는 인천이고 남동공단 근처입니다. 다음 날 다시 접속해 보니 starfish라는 아이디로 밤늦은 기록시간이 보이는 댓글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starfish ... ...
임부가 피해야 할 음식들, 정말 먹으면 안 될까?
KISTI
l
2013.09.26
필요는 없다. 오히려 지나친 맹신과 걱정이 아기와 임부에게 더 좋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도 잊지 말자. 글 : 이화영 과학칼럼니스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있습니다.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인사들은 이구동성으로 아쉬워하기 때문이다. 책은 인간이 문화적으로 성장시키는 출발
점
이다. 책 만드는 일은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화산업이기도 하다. 정부가 말하는 창조경제는 그래서 출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동향 8월호에서 발췌한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적을 무찌를 수 있었다. 이처럼 판옥선은 조선 수군의 단
점
(근접전에 불리)을 극복하고 장
점
(원거리 공격에 유리)을 살려 왜군의 전술을 무용지물로 만들고 아군을 유리한 위치에서 싸울 수 있도록 해준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임진왜란 때 왜군을 격파한 거북선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 ...
과학기술 안에서 '소통의 길'을 찾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18
시작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스마트 센서가 중요한 이유는 주변을 돌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정(情)을 나눌 수 있다는 뜻이다. 균형감각 없는 인류의 발전…과학기술로 나눠야! 경 교수의 명함에는 직함이 하나 더 적혀있다. (사)나눔과기술 대표가 그것이다. (사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한다는 주장이다. “나노입자로 화장품을 만들면 빠르게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장
점
이 있습니다. 그런데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것이 중요하다고들 하는데 나노 화장품은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이럴 때 나노입자가 피부에 예상치 못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다면 나노 기술의 ... ...
대한민국 SW 꿈나무를 발굴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실제 학생들이 학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주목할 만하다. 고등부 대상을 받은 ‘불후의 플랜테이션’ 작품은 농업 경영관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작물의 생산과 판매, 자본관리, 고용 등 경영활동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시상식에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육지에서 얻을 수 있는 광물자원은 헌재 일부 국가가 독
점
적으로 생산하고 있고, 그마저도 수십 년 후면 고갈될 거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속자원의 값은 계속 높아지지만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광물자원을 수입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우리에겐 미래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사건이었다. 당시 사람들이 느꼈던 충격은 현재의 우리가 명왕성 궤도에서 창백한 푸른
점
으로 간신히 보이는 지구의 사진을 접했을 때 느끼는 경이로움과 다르지 않다. 큐리오시티가 생생하게 보여주는 화성의 풍경을 볼 때 느끼는 생경한 신기함과도 다르지 않다. 이러한 비유가 썩 와닿지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0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육지에서 얻을 수 있는 광물자원은 헌재 일부 국가가 독
점
적으로 생산하고 있고, 그마저도 수십 년 후면 고갈될 거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속자원의 값은 계속 높아지지만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광물자원을 수입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우리에겐 미래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