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점점 심각해지는 기상이변, 탄소중립만으로 해결될까?
2022.07.06
기록했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대부분 산림을 훼손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인간
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위험도(risk)라고 한다. 2월 28일 발표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는 발생 빈도와 강도를 고려해 주요 위험도 127가지를 선정했다. ... ...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연합뉴스
l
2022.07.05
체내 지질 대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데 맞춰졌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인간
세포주(cell lines)를 배양해 4백여 개 유형의 지질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관찰했다. 무엇보다 신종 코로나에 감염되면 세포의 지질 수위가 크게 달라졌다. 심지어 어떤 지질은 감염 전의 64배로 늘기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색체는 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7.02
염색체 재조합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인간
암 세포와 게놈의 복잡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와 구조가 갖는 근본적인 특성을 알아낸 것”이라며 “향후 암과 관련된 염색체 불안정성 연구를 확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 ...
웹 망원경 첫 이미지 '감격적 경험', 분위기 띄우는 NASA
연합뉴스
l
2022.06.30
덧붙였다. 펨 멜로이 NASA 부국장도 "내가 본 것은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서, 그리고 한
인간
으로서 나를 감동시켰다"고 했다. 빌 넬슨 국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직접 참석하지 못했지만 전화를 통해 첫 이미지가 "인류가 이전에 본 것보다 더 먼 것이 될 것 ... ...
태국서 고양이한테 코로나19 감염된 사람 첫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사슴 등이 확인되고 있다. 여기에 고양이도 추가되는 셈이다. 연구진은 “이들 동물이
인간
을 감염시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감염된 사람이 여전히 주된 전파 원인임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
2022.06.30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
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화성에서 발견된
인간
세상의 쓰레기
팝뉴스
l
2022.06.27
이번 발견이 첫 쓰레기는 아니다. 앞서 작동을 멈춘 로버들과 착륙 장비의 잔해도 모두
인간
이 화성에 남긴 쓰레기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원숭이두창 2018년부터 조용히 퍼지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1980년대 천연두 박멸로 전세계가 수두바이러스에 취약해져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인간
을 잘 감염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 바 있다. ● 아프리카 외 지역에서 사람·동물 간 전파 우려도 만약 바이러스가 사람을 본격적으로 숙주로 삼기 시작하도록 적응했다면 발병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갖게 됐고 DNA의 염기를 분석한 결과 총 염기수가 6조개에 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인간
단일 세포 내 DNA 두 가닥의 염기가 60억개임을 감안하면 단세포생물로는 어마어마한 염기를 보유한 것이다. 연구진은 거대 박테리아가 어떻게 크기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는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 ...
[Q&A] 원숭이두창 환자 혈액이나 체액 통해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질환으로 1958년 원숭이 연구자들이 처음 발견했다. 이후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간
감염 사례가 최초로 확인됐다. 아프리카 중부와 서부에서 주로 확진자가 발견돼 왔다. 사람이 걸리는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더 약하다. 증상은 독감과 비슷하며 이후 림프샘이 붓고 얼굴을 비롯한 몸에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