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유전자 스위치 찾아 뇌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여기에 동물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변화를 확인하는 행동실험까지 진행하면서 현대
생물학
의 연구 도구를 모두 활용하고 고있다. 신경후성유전학 연구실은 유전학의 최신 연구분야로 꼽히는 후성유전학을 이용해 뇌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뇌기능과 관련된 질병을 해결하는 게 ... ...
모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밝혔다. 치료제 개발 연구를 이끌고 있는 임레 버거 막스플랑크-브리스톨 소형
생물학
센터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치료제의 목적은 체내로 유입되는 바이러스의 양을 크게 줄이고 억제하는 것”이라며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감염돼도 바이러스가 폐나 다른 인체 장기로 증식하는 것을 막을 ... ...
계란에서 배양하는 코로나백신 임상 돌입...팬데믹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임상1상은 오는 7월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15일 베트남 백신및의학
생물학
연구소는 NDV-HXP-S의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1주일 뒤에는 태국 정부 제약협회도 임상시험을 발표했으며 3월 26일에는 브라질 부탄탄연구소가 임상시험을 위한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시적 망각은 어떻게 생길까
2021.03.30
미토콘드리아의 기원이 세포내공생이라는 언급에 딸린 참고문헌을 보니 1967년 ‘이론
생물학
저널’에 실린 그 논문이다. 그런데 저자가 ‘Sagan, L.’이다. ‘그래, 칼 세이건이 첫 남편이었지...’ 우리가 알고 있는 저자의 성은 칼 세이건과 이혼한 뒤 재혼한 남편의 성이다. 그런데 갑자기 이 ... ...
"중국 실험실서 코로나 유출 가능성 낮다" WHO 최종보고서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최종 보고서 사본을 살펴본 미국 시애틀 소재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센터의 진화
생물학
자 제시 블룸은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실험실에서 바이러스가 누출될 가능성이 극히 낮은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며 “바이러스가 자연적으로 진화해 인간에게 전파할 가능성은 매우 높지만 보고서에서 ... ...
[잠깐과학] 노화 26세에 이미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다시 노화의 속도가 느려져 나이를 한 살 먹을 때마다 신체나이는 평균 1.2세 늘었다.
생물학
적 노화를 막을 수 있을까. 댄 교수는 “노화의 속도는 유전탓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유전의 영향은 20%밖에 되지 않고 환경의 영향이 더 크다”며 “노화와 관련된 연구가 노인층에 집중돼 있지만 관련 ... ...
美연구팀 "코로나 백신 임산부에 효과 있다…태아에 항체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취약한 어린이를 포함해 임산부에 백신이 골치 아픈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물학
연구에서 임산부와 어린이를 배제하는 오랜 전통에 따라 백신 임상시험에서도 임산부가 제외됐다. 이에 따라 실제 백신 접종이 시작되며 이들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 논란이 일었다. 다만 여러 ... ...
[잠깐과학] 실제 나이에 ±6하면 신체 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실험 참가자들은 차이가 더 컸다. 연구를 이끈 한징동 중국과학아카데미 컴퓨터
생물학
과 교수는 “3차원 얼굴 사진 분석은 혈액 분석보다 신체 나이를 더 정확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원문 : 수학동아 2015년, 사람의 신체나이, 3차원 사진으로 분석 https://dl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분석한 결과 RNA 성분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세 폴로 호주 모나시대 발달
생물학
및해부학부 교수팀은 세포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재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해 섬유성 결합조직을 이루는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영양막줄기세포로 재프로그래밍했다. 연구팀은 3주가 지나자 이 세포 중 6~18 ... ...
코로나 백신 맞고 이상반응, 여성이 남성보다 왜 더 많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더 심각한 부작용을 보이는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
적인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줄리안 지 CDC 면역안전국 연구원은 “여성은 백신 접종 후 면역세포인 T세포가 더 많이 생성돼 강력한 면역 반응을 보인다”며 “에스트로겐과 같은 성호르몬의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