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스페셜
"
도움
"(으)로 총 2,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
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세균학이 크게 발전했다. 의학이 한층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견에
도움
이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집합체인 패러다임을 올바르게 바꾸는 것은 의학을 크게 변화시켜 발전으로 이어지곤 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어려운 것부터 해치워야 효율 높아져
2023.01.28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
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역전을 위해 피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아직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일부는 인체에
도움
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 임상실험이 진행되거나 준비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나이에 따른 혈장 단백질의 조성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중 노화와 관련된 단백질들을 구성해 노화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회사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것도 같은 맥락이다. 간식도 과자 대신 견과류나 다크초콜릿을 먹으면 미네랄 보충에
도움
이 된다. 커피가 몸에 좋은 배경에도 미네랄이 있을지 모른다. 최근 하루 커피 서너 잔을 마실 때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는 식의 연구가 여럿 나왔다. 한두 잔이면 모를까 역시 건강에 중요한 수면의 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대규모 핀란드인 유전자 분석...질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1
같은 지역에서 세대를 걸쳐 살아온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하면 유전질환 연구에
도움
을 준다. 유사한 유전자가 오랫동안 후대로 전달돼왔기 때문에 계보에서 ‘튀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아내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북유럽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핀란드는 지리적 위치와 언어적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금속 촉매 개발에
도움
을 줄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4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수정 기초교육학부 교수와 오상현 미국 캘리포니아대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생 오상현씨가 시인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전상훈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전 장관이 자랑하는 ‘통합사회·통합과학·(통합)수학’은 진정한 문·이과 통합 교육에
도움
이 되는 것이 절대 아니다. 예를 들어서, 통합과학은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을 똑같은 분량으로 분배해놓은 기형적인 과목일 뿐이다. 고등학교 1학년에서 배우는 통합 과목만으로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꾸준히 결과를 발표했지만 폴란드어로 논문을 쓴 것이 자신의 업적을 널리 알리는데
도움
을 주지 못했다. 1892년에 이탈리아의 비초제로(Giulio Bizzozero)도 토리노에서 열린 의학학술대회에서 개의 위에 살고 있는 나선형 세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야보로스키와 함께 누가 헬리코박터균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