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업
강습
뉴스
"
학습시간
"(으)로 총 1,2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신영수...반도체 리소그래피 공정 최적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신영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기계학습을 이용해 고성능 반도체 리소그래피(포토 공정) 최적화 기술을 개발한 신영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 ... ...
뇌 없어도 과거 경험 학습하는 해파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뇌 구조가 없어도 반복된 자극으로부터 학습 행위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상자해파리. 위키미디어 제공 인간이나 생쥐 등이 가진 뇌가 없는 해파리도 과거의 경험을 학습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보를 처리하는 중심기관인 뇌가 없어도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존을 위협하는 장애 ... ...
[주말N수학] 수학 국가대표 6인방의 비밀 무기
수학동아
l
2023.09.23
수학 국가대표 6인방. 수학동아 제공 KOR. 국제스포츠대회에서 우리나라 국가대표를 나타내는 표기입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이하 IMO)에 출전한 6명의 우리나라 고등학생도 KOR 마크를 달고 전 세계 대표와 경쟁했습니다. 국가 위상을 드높인 수학 국가대표의 수학 공부법은 뭔가 특별하지 않을 ... ...
구글 딥마인드, 질병 유발 유전변이 7100만개 평가..."32%가 유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모델 '알파폴드'가 예측한 단백질의 3D 구조. 딥마인드 제공.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대규모로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나왔다. 희귀질환의 진단과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의 인공지능(AI) 기업 딥마인드는 AI프로그램인 '알파미스센 ... ...
적은 데이터 학습해도 신약 후보 내놓는 생성형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9.19
남호정 교수 연구팀이 신규 약물 구조를 생성해주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한 신약 디자인 플랫폼을 개발했다. 약물의 효과를 최적화한 저분자 화합물을 생성형 AI로 생성해주는 플랫폼이다. 신약 개발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리' 빨리 배우는 새가 문제해결력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뭔가를 골똘히 생각하는 듯한 새 한 마리를 보여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능이 높은 '총명한' 새일수록 발성을 학습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에리히 자비스 미국 록펠러대 현장연구센터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더 복잡한 발성을 학습 ... ...
[사이언스게시판] 핵융합연, 청소년 맞춤 플라즈마 교육 프로그램 운영
동아사이언스
l
2023.09.13
군산 지역 청소년들이 13일 플라즈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가 군산 지역 청소년 대상으로 13일 플라즈마기술연구소 및 군산대에서 플라즈마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 ... ...
KAIST, 미국 뉴욕서 첫 테크페어 개최…"기술 실증, 투자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2023 KAIST 테크페어 뉴욕’ 홍보물. KAIST 제공 KAIST는 이달 22일 미국 맨해튼 뉴욕대학교 킴멜센터에서 ‘2023 KAIST 테크페어 뉴욕’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KAIST 창업기업의 기술 가치를 현지에서 실증해 투자 유치 및 글로벌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KAIST는 2018년부터 매년 ... ...
"정상 체온, 사람마다 다르다"
연합뉴스
l
2023.09.07
연합뉴스 제공 정상 체온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대 감염질환 역학 교수 줄리 파스네트 박사 연구팀이 2008~2017년 사이에 스탠퍼드 의료센터를 방문한 성인 외래 환자의 총 61만8천여 회 구강체온(oral temperature) 측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 ... ...
AI도 사람만큼 냄새 잘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인공지능도 사람만큼 냄새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rina Velichkin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이 사람처럼 냄새를 잘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처럼 후각수용체를 이용해 실제로 냄새를 맡는 것은 아니지만, 머신러닝으로 반복된 학습과 훈련을 받으면 냄새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