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레임"(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 [WWDC 2017 ①] 아마존 만난 애플TV, 머신러닝 품은 애플워치2017.06.06
- 나은 그래픽 성능을 보여주는데, 애플은 이를 VR과 연결했다. 애플은 VR기기가 1초당 90프레임 정도를 뽑아내야 화면에 잔상이 없고 매끄럽게 느껴진다고 판단했고, 새 맥들을 이 기준에 맞췄다. 아이맥 뿐 아니라 맥북 프로 역시 7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넣어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였다. 또한 가격도 ... ...
- 나를 따라다니는 드론, DJI 스파크...핵심은 비전 컴퓨팅2017.05.30
- 1200만 화소 픽셀을 담았다. 동영상은 1080p, 즉 풀HD 해상도를 낼 수 있고, 1초에 최대 30프레임을 찍는다. 4k 해상도나 초당 60프레임 촬영은 안 된다. 이는 센서의 크기나 성능 문제보다도 상위 제품과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제한으로 보인다. 영상의 해상도는 이 제품에 거의 유일하게 아쉬운 부분이다. ... ...
- [구글 I/O] 구글이 꿈꾸는 가상현실2017.05.22
- 두 가지 방향으로 진화합니다. 먼저 소프트웨어입니다. 구글은 ‘쇠라(Seurat)’라는 프레임워크를 발표했습니다. 쇠라는 19세기 프랑스 화가로 점묘 화법으로 유명합니다. 이 이름이 낯설고 의외일 수 있습니다. 구글의 쇠라는 데이드림 헤드셋이 가상 현실을 그려낼 때 한번에 모든 그래픽 요소들을 ... ...
- [구글 I/O] 머신러닝의 시대, 구글은 무엇을 노리나2017.05.19
- 머신러닝에 전부 투자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그 즈음 구글은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텐서플로(Tensor Flow)’를 오픈소스로 공개했고, 관련 기술들을 검색부터 사진, 클라우드 등에 접목했다. 이후 알파고의 바둑을 통해 기술적, 대중적으로 머신러닝을 알리기도 했다. 과연 머신러닝은 ... ...
- 299달러, 마이크로소프트의 MR 헤드셋 써봤습니다2017.05.12
- 조건은 완전히 똑같습니다. 아무래도 이 해상도와 시야각, 그리고 기본적인 구조와 프레임워크는 표준화한 듯 합니다. 다만 케이블에 대한 부분은 가격과 성능, 그리고 편리함의 복합적인 셈법이 따르는데, 아직은 선을 통해 다른 부분들을 잡는 쪽으로 정한 듯 합니다 빌드를 코 앞에 두고 ... ...
- MS, “인텔리전트 클라우드로 진화”2017.05.11
- 직접 학습부터 적용 분야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영역을 넓혔고, 지난해 발표한 봇 프레임 워크에 기능을 확대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이었다. 인공지능 관련 기술들은 이제 기술 그 자체만큼 기술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될 지에 대한 고민이 늘어나고 있다. ... ...
- 얼굴인식 카메라, 몇 명까지 인식 가능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5.10
- 위로를 안겨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카메라 어플의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사진 프레임 안으로 등장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동시에 강아지 귀를 달고 사진을 찍기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특히 이목구비가 아직 뚜렷하지 않은 어린 아들들과 사진을 찍으려면, 첫째 강아지가 완성되면 둘째 ... ...
- [ESC의 목소리 (12)] 과학교육을 다시 생각한다2017.05.08
- 과학’이라는 좁은 관점에서 보자면 과학기술은 전문가들의 언어일 따름이다. 하지만 이 프레임을 깨고 ‘교양이자 세계관으로써의 과학’이라는 시각을 갖게 되는 순간 과학기술의 기본 원리는 모두가 공유해야 할 중요한 자산이 된다. 과학기술은 현대 사회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끼쳐 ... ...
- 20만원짜리 윈도 컴퓨터?..MS는 왜 윈도우10S를 내놨을까2017.05.03
- 떠올랐습니다. 윈도우RT는 기존 exe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 대신 윈도우의 새로운 프레임워크에서 돌아가는 윈도우 스토어 앱만 띄울 수 있었습니다. 앱을 골라내려는 특별한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인텔의 x86 프로세서 대신 ARM 기반 칩이 들어갔기 때문에 기존 앱을 제대로 돌리기 어려웠던 것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⑤ 나는 왜 합리적이지 못할까? 2017.04.23
- 가능한 정보를 확인해서 적용하려는 인지적 경향, 이른바 ‘위험 회피(risk aversion)’와 ‘프레임 효과(framing effect)’가 빚어낸 착각입니다. 관련도 없는 정보를 대입하고 정답의 근사치에 좀더 가까워졌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하지만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입니다. ● 경험을 통한 원칙의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