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이클
순환
자전거
사이클
진동수
주기
순환기
뉴스
"
주파수
"(으)로 총 6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아크인베스트먼트 우주탐사 및 혁신 ETF를 아십니까
2021.04.09
측량과 개발도 사람 없이 가능해진다. 트림블은 최근 전파방해와 해킹이 어려운 이중
주파수
수신 모듈을 출시했는데, 이 역시 산업의 방향성을 고려한 제품으로 보인다. 우주 ETF에 포함됀 일본 굴삭기업체 코마츠. 인공위성 GPS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무인정밀작업이 가능한 장비를 생산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검토가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두 양식 신경조절’ 장비를 착용하고 특정
주파수
의 소리와 함께 혀에 전기자극을 주는 치료를 매일 한 시간씩 12주 동안 받으면 이명 증상이 꽤 개선된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지난해 나왔다. 이 장비는 ‘레니어’라는 이름으로 제품화됐다. Neuromod Devices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메타물질 변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링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를 이용하면 가시광선과 6세대(6G) 통신
주파수
인 테라헤르츠파 대역에서 전자기파의 특성을 바꿀 수 있어 혈당 측정, 바이러스 검사뿐 아니라 3D 홀로그램, 6G 통신기술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 ...
변신로봇처럼 모양 바꾸며 숨은 전파 찾는 안테나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찾은 후 이동형 차량이 가까이 다가가 정확한 위치를 찾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다양한
주파수
대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찾는 이동형 안테나는 주로 900~8000MHz(메가헤르츠) 고대역 안테나와 20~900MHz 저대역 안테나로 구성된다. 두 안테나를 떨어트려 놓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지만 이를 위해 안테나를 ... ...
차세대중형위성1호와 함께 우주 향한 국산 큐브위성도 '첫 신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1’ 4기를 제외한 위성 33기는 550km 상공에서 동시에 우주로 방출됐다. 이들 위성은 비슷한
주파수
의 무선신호를 방출하기 때문에 특정 위성이 송출하는 신호를 정확히 잡아내기 쉽지 않다. 최원섭 항우연 선임연구원은 “위성이 지구를 수차례 도는 과정에서 점차 서로 거리가 멀어지고 나서야 각 ... ...
뇌의 별 모양 세포, 새로운 '수면 조절' 기능 발견
연합뉴스
l
2021.03.24
활성화→뇌
주파수
낮춰 수면 유도 Gi·Gq 수용체, 수면의 양과 질 제어…저널 'eLife' 논문 [뉴욕 줄기세포 재단 연구소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인간은 삶의 3분의 1을 잠자는 데 할애하면서도 수면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잘 모른다. 예를 들면 어떤 이는 수면을 방해하는 환경에서도 깊게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별도로 컨트롤러를 부착해 근적외선에 의해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특정
주파수
에 따라 점멸하는 빛을 발생시켜 뇌 기능 조절을 가능케 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장치의 작동 여부를 실제 생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생쥐의 수염을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뇌 부위에 빛을 발생시키는 ... ...
가상현실 체험 때 느끼는 멀미 뇌파로 측정한다
연합뉴스
l
2021.03.18
멀미를 일으킬 때 반복된 측정에도 전두부·중앙부 등 특정 영역에서 델타·시타·알파의
주파수
범위가 일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사이버 멀미가 심한 사람일수록 뇌파의 변화 범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현균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콘텐츠 제작과 개발에 사이버 멀미 등급을 부여해 개인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일어나더라도 주변에 공기가 있을 때 필요한
주파수
크기가 체액이 있을 때 필요한
주파수
크기의 2배였다. 위어즈비키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높이가 약 10㎚(나노미터·100만분의 1㎜)로 워낙 작고 구성 성분을 전부 알 수 없어서 모델링할 때 많은 가정이 필요하다"며 "향후 돼지에게서 ... ...
지하철에서도 5G로 AR 끊김 없이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초고주파 기반 무선 백홀 시스템을 개발하고 서울 지하철에 적용했다. 직진성이 강한
주파수
특성의 한계를 넘어 성능을 내는지 분석하기 위해 시연 장소로 국내 지하철 중 가장 곡률이 심한 8호선 잠실역~송파역 구간을 선정했다. 연구팀은 지하철 터널 내부 5개 구간에 기지국 시스템을 구축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