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석
아연철
함석철
아연도금
도금
황산아연
황산
뉴스
"
아연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필름이 개발됐지만 가격이 비싸고 접착력이 약한 것이 단점이었다. 연구팀은 새로
아연
나노필름을 개발해 실험한 결과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 99% 이상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 2000번 이상의 문지르는 테스트에도 90% 이상의 투명도를 유지하는 등 내마모성도 강했다. 3개월 이상 공기 중에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산소 원자가 나오고, 이들끼리 결합해 산소 분자가 되는 것이다. 반면 칼슘이온 대신
아연
이나 루테튬, 이트륨 등의 이온이 있을 때는 산소가 방출되지 않았다. 남 교수는 “앞으로 이 효소의 기능을 흉내 내면 물을 이용해 산소나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restriction enzyme)에서 DNA가닥을 자르는 활성을 띠는 부분을 붙인 합성단백질이다. 즉 ZFN의
아연
집게가 게놈에서 고장난 유전자가 있는 부분을 찾아가 빨래집게처럼 집고 있는 동안 제한효소 부분이 가닥을 댕강 자른다. 그러면 세포의 복구 시스템이 작동해 잘린 부분을 다시 이어주는데, 이때 그 ... ...
인류 구할 ‘슈퍼히어로’는 누룩곰팡이
과학동아
l
2014.06.29
1 유전자가 항생제에 저항하기 위해선
아연
이 반드시 필요했다. 즉 유전자가 발현될 때
아연
이 접근하는 것을 막으면 되는데, 이를 만족하면서 동시에 사람에게 독성을 내지 않는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누룩곰팡이의 일종인 아스페르질루스 베르시콜로르(Aspergillus versicolor). 연구팀은 이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전공 공부를 할 때 주워들은 것들을 동원해야겠다. 먼저 마그네슘(Mg)과 망간(Mn),
아연
(Zn)으로 특정 효소가 활성을 띠려면 꼭 필요하단다. 구리(Cu)도 비슷하게 쓰인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다. 그리고 수년 전 비소박테리아 논문이 나왔을 때 비소(As)도 극미량 필요하다는 구절을 읽었다(물론 인을 ... ...
치매 진행상황 한 눈에 알 수 있는 방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7
앓는 환자들 뇌에 쌓이는 특정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펩타이드’는 구리,
아연
등 독성을 가진 금속 이온과 반응해 뇌신경 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다이드가 뇌에 쌓이면서 뇌기능을 저하시키는 이유는 지금까지 알 수 없었다. 알츠하이머는 뇌 ... ...
값싼 태양전지 투명전극 재료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1
문 교수팀은 은 나노와이어를 산화
아연
으로 감싸 이 단점을 극복했다. 산화
아연
은 기계적·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문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투명전극을 실제 태양전지에 적용한 결과 인듐을 이용한 기존 투명전극을 썼을 때와 같은 효율을 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문 ... ...
연극과 미술에 '풍덩' 뛰어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어렵고 딱딱하게만 느껴지는 과학. 각종 원리와 이론, 생소한 용어에
아연
실색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과학적 소재가 연극이나 미술에 들어간다면 어떨까. 작품 속에 녹아 있는 과학적 원리는 신선할 뿐 아니라 보고 느끼는 재미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학을 소재로 한 연극이나 예술 작품 ... ...
퇴행성 관절염 유발 범인은 바로
아연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생쥐에서는 퇴행성관절염이 유발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전 교수는 “필수 무기질인
아연
과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가 연골퇴행과 관련이 깊음을 밝힌데 의의가 크다”며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법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중국發 초미세먼지는 중금속 덩어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폐가 아닌 위로 들어오면 카드뮴은 함량의 82%, 납은 71%,
아연
은 84%가 위에서 용해돼 축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국내에 유입된 초미세먼지의 근원지는 중국이라는 증거도 찾아냈다. 이온빔을 이용해 초미세먼지를 잘라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